현대차증권, 3분기 영업이익 141억 원… 누적 영업이익 44.7% 증가
리테일·IB·S&T 부문 고른 성장, ROE 5.1%로 목표 상회 3분기 일회성 비용 반영에도 순이익 522억 원, 자본 효율화 전략 성과
현대차증권이 올해 3분기 영업이익 14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3% 감소했지만, 누적 영업이익은 682억원으로 44.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522억원을 기록하며 45.9% 늘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번 분기 실적은 일회성 비용을 반영한 결과로, 영업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리테일, 투자은행(IB), 세일즈앤트레이딩(S&T) 등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기록했다.
3분기 리테일 부문은 순영업수익 20% 증가를 달성하며, VIP 자산관리(WM) 채널 강화와 거래대금 회복에 힘입었다. IB 부문은 인프라, ESG 금융, 항공 물류 등 비부동산 영역으로의 확장을 통해 순영업수익이 50% 이상 증가했다. S&T 부문은 채권 중개와 인수 영업 확대로 성장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는 9월 말 기준 5.1%로, 전년 말 대비 2.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현대차증권이 목표했던 'ROE 4%'를 웃도는 수치로, 밸류업 계획의 첫 성과를 보여준 것이다.
현대차증권은 밸류업 로드맵을 바탕으로, 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자본 효율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주주환원 정책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지난 3월에는 162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했으며, 초과청약률 102.8%를 기록했다. 같은 달, 상환전환우선주(RCPS) 704만주를 전량 매입하고 소각하는 등 자본 효율화도 가속화했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밸류업 로드맵을 통해 본업 경쟁력이 체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실적이 의미 있다”며, “ROE 개선과 주주가치 제고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증권의 주가는 2023년 1월 16일 밸류업 계획 발표 당시 6510원에서 7월 18일 52주 신고가 64.8% 상승한 1만700원을 기록했다. 이후 주가는 하락세로 돌아서며, 현재 8000원대에 머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