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기후산업박람회서 미래 에너지 청사진 제시

재생에너지·저탄소LNG·SMR 등 다채로운 에너지 포트폴리오 소개

2025-08-26     진경남 기자
SK그룹의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전시관 조감도./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이 27~29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에 참가해 AI 시대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할 차세대 에너지 솔루션을 대거 공개한다. 회사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소, 재생에너지, LNG 등 에너지 풀패키지 전략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전력난을 해결할 ‘SK식 해법’을 제시할 방침이다.

WCE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 주최하는 기후 및 에너지 관련 국제행사다. 올해는 청정에너지, 미래모빌리티, 환경, 해양 등 다양한 분야를 대표하는 약 560개 국내외 선도기업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인공지능(AI) 시대 전력 사용량이 폭증하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안정성과 에너지 수요에 대응할 다양한 에너지 해법을 소개한다.

우선 계열사 SK이노베이션 E&S를 통해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사업자로서 보유 중인 총 5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파이프라인을 선보인다. 경쟁력 있는 LNG 밸류체인과 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활용한 저탄소 LNG 생산 계획도 소개인다. 올해 말 가동 예정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프로젝트와 연계한 CCS 및 저탄소 LNG 생산 계획도 함께 공개한다.

수소와 SMR 등 미래 청정에너지 사업 현황 및 계획도 다룬다. 액화수소 기반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확대 계획과 청정수소 발전 밸류체인 구축 계획을 선보이고, 테라파워 등 SMR 기술 협력을 통한 무탄소 에너지 확보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SK온은 고전압 모듈을 활용한 설계를 통해 고객 맞춤형 시스템을 전시한다.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AI 데이터센터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열확산 방지 설루션, 배터리 진단 시스템 등을 적용해 안전성도 대폭 강화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SK E&S의 자회사 부산정관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분산에너지 사업 확장 계획을 상세히 소개한다.

이 밖에도 SK하이닉스의 5세대 HBM을 비롯해 SKC의 유리기판, SK엔무브의 서버용 액침냉각 기술과 SK텔레콤의 AI DC 인프라 매니저 등 최첨단 AI 데이터센터 구축·운영에 필요한 SK그룹의 AI 솔루션 등도 전시한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깨끗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최적의 에너지 솔루션을 토대로 AI 시대가 요구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