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기후보험’ 4개월에 2천여 건 지급··· '기후 재난' 시대 안전망 역할

폭염·폭우 피해에 진단비·위로금 지원…기후취약계층 보호 실효성 입증

2025-08-20     신익훈 전문기자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경기 기후보험’이 도입 4개월 만에 총 2358건의 보험금을 지급했다. /그린포스트코리아  그래픽, 픽사베이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경기 기후보험’이 도입 4개월 만에 총 2358건의 보험금을 지급했다. 특히 지급 건수의 80% 이상인 1945건이 기후취약계층에게 돌아가, 기후위기에 따른 건강 불평등 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폭염·폭우 피해 속 체감되는 기후보험 효과

실제 사례를 보면 제도의 실효성이 드러난다. 경기도에 따르면 최근 폭우 피해가 컸던 가평군에 거주하는 A씨는 수해 복구 중 토사에 휩쓸려 4주 이상 골절상을 입었고, 30만 원의 사고위로금을 받았다. 또 다른 도민 B씨는 타 지역 야외작업 중 열탈진 진단을 받고 온열질환 진단비 10만 원을 지급받았다.

기후취약계층 대상 보장도 강화됐다. C씨는 열실신으로 입원해 진단비 10만 원과 입원비 50만 원(5일 기준)을 받았고, D씨는 의료기관 교통비 10회분(총 20만 원)을 지원받았다.

4월 11일 제도 시행 이후, 초기에는 5월 8건, 6월 13건에 불과했지만, 7월 187건, 8월에는 19일 기준 2150건이 접수됐으며, 이어지는 폭염과 집중호우가 관심 급증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전체 지급 건수 중 가장 많은 항목은 의료기관 교통비(1,931건)로, 대부분 기후취약계층(보건소 방문 건강관리 대상자 등)에게 집중됐다.

이 외에도 △온열질환 진단비 335건 △감염병 진단비 66건 △기후재해 사고위로금 13건 △온열질환 입원비 13건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 기후보험 안내 포스터. /경기도청

“제도 안착…계절별 기후위기에도 선제 대응”

경기도는 보험료 전액을 부담해 모든 도민이 자동 가입되며, 온열·한랭질환, 감염병, 기상특보 관련 부상 등에 대해 정액 보장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시군의 적극적인 협조와 홍보로 기후취약계층 대상 지원 실적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오산시는 보건소 방문 건강관리 대상자 약 2000명을 위해 전담 인력과 원스톱 접수 창구를 운영하며, 기후보험 청구를 신속하게 지원하고 있는 대표 사례로 꼽힌다.

박대근 경기도 환경보건안전과장은 “최근 4개월간의 실적은 기후보험이 도민 생활 속에 빠르게 안착하고 있다는 신호”라며, “폭염뿐 아니라 태풍·집중호우 등 계절별 기후위기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기후보험의 보장 항목과 신청 방법은 경기도 누리집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대표 콜센터 또는 경기도 환경보건안전과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