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공공 교통에 AI·모빌리티 접목…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협력
인구 소멸 지역 교통 문제 해결 및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위한 협력 현대차·기아의 셔클 데이터와 공단 관리 시스템 결합… NUMA 구축 박차
현대자동차그룹이 AI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모빌리티 혁신을 공공 교통 부문으로 확대한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17일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서울 강남구 소재)에서 한국교통안전공단과 ‘공공 교통 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수영 현대차·기아 모빌리티사업실장 상무, 민승기 한국교통안전공단 모빌리티교통안전본부장 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AI, 교통 데이터, 모빌리티를 활용해 인구 소멸 위기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차·기아는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 ‘셔클’을 운영하며 쌓은 데이터와 노하우를,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공공 교통 사업 경험과 관리 시스템을 공유한다. 양측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 교통 실태를 분석하고, 새로운 공공 교통 모델을 개발·실증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마련된 정책과 제도는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지역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협력은 현대차그룹이 추진하는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 구축의 일환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플레오스 25'(Pleos 25) 행사에서 NUMA 계획을 공개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 구현을 위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예고한 바 있다.
김수영 현대차·기아 모빌리티사업실장 상무 상무는 “공공 교통 분야 혁신 모델 개발과 미래 모빌리티 기술 발전을 선도하겠다”며 “데이터 연계와 공동 연구를 통해 지역 교통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승기 현대차·기아 모빌리티사업실장 상무 본부장도 “공공·민간 데이터 결합은 국민 맞춤형 교통서비스 확대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체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NUMA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와 협력해 호텔 내외부 셔틀 서비스에 ‘셔클’을 적용하는 실증 사업도 진행 중이다. 이 데이터와 기술을 활용해 호텔 인근 주민과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이동 서비스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