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석화 부진에도 2분기 영업익 21.5% ↑

매출 6.7% 감소한 11조 4177억 미국 관세·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 중장기 포트폴리오 재점검 지속…에스테틱 사업 2000억원에 매각

2025-08-07     진경남 기자
LG화학 로고

LG화학이 석유화학 부문의 적자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솔루션(배터리) 부문의 선전에 힘입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매출은 감소하고 순손실로 돌아서며 수익성 방어에 힘겨운 모습을 드러냈다. 회사 측은 비핵심 사업 정리와 고부가 중심 사업 재편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LG화학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76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1.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11조4177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7% 감소했다. 순손실은 1119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사업부문별로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6962억원, 영업손실 904억원을 기록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이슈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 등으로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환율 효과까지 겹치며 적자가 이어졌다.

자회사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을 기록하며 그룹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고객사의 보수적인 재고 정책 기조가 지속되며 매출이 감소했으나 북미 생산비중 확대와 원가 절감 노력이 맞물리며 북미 생산 인센티브를 제외하고도 영업이익은 흑자를 기록했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1조605억원, 영업이익 709억원을 거뒀다. 전지재료 출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자·엔지니어링 소재의 고부가 제품이 실적을 방어했다. 생명과학 부문은 매출 3371억원, 영업이익 246억원을 기록했으며, 자회사 팜한농은 원가 부담 속에서도 매출 2424억원, 영업이익 125억원을 나타냈다.

LG화학은 이날 에스테틱 사업부를 사모펀드 운용사 VIC파트너스에 2000억원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생명과학 내 비핵심 사업 정리를 통해 항암 등 글로벌 신약 개발 역량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회사는 이날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3대 신성장 축 외 주력 미래 산업과 시너지가 제한적인 사업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고성장·고수익 중심의 체질 개선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석유화학 부문에 대해선 "전반적인 글로벌 수요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북미 및 아시아 지역 신증설 물량 정상화와 함께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차동석 LG화학 사장은 "22분기는 미국 관세 분쟁과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글로벌 수요 약세, 전기차 보조금 조기 종료를 앞둔 고객사들의 보수적인 재고 운영 등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됐다"며 "향후 선제적인 사업 및 자산 효율화와 기술력 기반의 미래 수요 확보를 통해 중장기 성장성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