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NH투자증권 압수수색··· 공개매수 정보 유출 정황 포착
전·현직 직원 복수 연루 가능성··· 미공개 정보 활용해 사익 추구 정황 증권사 내부로 조사 확대··· 유사 구조 타 증권사로 수사 확산 가능성도
금융당국이 NH투자증권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상장사 공개매수(M&A)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를 외부로 유출하거나 사전 매매에 이용한 정황이 포착된 데 따른 조치다. 내부 직원이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며, 금융감독 당국은 전·현직 복수 인물로 수사 대상을 확대해 정밀 분석에 나선 상태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은 지난 23일부터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NH투자증권 본사에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다. 수색은 이틀째 이어졌으며, 금융위는 "연루된 인물이 여럿으로 보이며, 추가 관련자가 있는지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의 핵심은 NH투자증권이 상장사의 공개매수 거래를 주관하거나 사무 대행을 맡는 과정에서, 관련 정보를 사전에 접한 직원이 이를 외부로 흘리거나, 직접 주식을 매매했다는 의혹이다. 자본시장법은 미공개 중요정보를 이용한 매매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형사 처벌 대상이 된다.
공개매수는 통상 수개월 전 증권사와 계약을 맺고 진행되는 구조다. 대상 기업, 지분율, 가격 조건 등 주요 내용이 협의되는 과정에서 주관사, 자문사, 로펌, 사모펀드 관계자 등 복수의 내부자가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특히 증권사 내부에서는 본사 IB(투자은행)본부뿐 아니라, 지점 영업직원까지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 유출 위험이 높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 금융당국은 지난 상반기에도 일부 로펌과 사모펀드 직원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이득을 본 정황을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의뢰한 바 있다. 이번 NH투자증권 사례는 '준내부자'에서 '직접 주관사'로 조사 대상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증권업계 전반으로 수사가 확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금융당국은 "자본시장 질서를 훼손하는 내부정보 유출은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NH투자증권 측은 현재까지 별도의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한편, 업계에선 이번 사안이 단순한 일탈을 넘어, 제도 전반의 허점을 드러낸 사례로 보고 있다. 특히 사전 정보 접근 가능 인력이 많은 구조적 특성상, 정보 차단 장치 강화와 내부통제 고도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