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보상안 발표했지만··· 고객 이탈 '후폭풍'
보상안 발표했지만 고객 이탈 가속… 하루 동안 가입자 3865명 순감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 가능성에 이목 집중… 쉽지 않은 신뢰회복길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로 홍역을 치른 SK텔레콤(이하 SKT)이 전방위적인 수습책을 내놓으며 진화에 나섰지만, 후폭풍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정부가 사고 책임을 SKT에 있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가입자 이탈은 가속화되고, 역대 최대 규모의 과징금 부과 가능성도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 위약금 면제에 이탈자 늘어… 고객 실망은 여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4일 “SKT의 계정 관리 미흡, 사이버 공격 대응 지연, 암호화 조치 미흡이 주요 원인”이라며 사고의 귀책이 SKT에 있다고 발표했다. 발표 직후 SKT는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고객 위약금 면제 및 대규모 보상안을 담은 수습책을 내놓았다.
SKT는 ▲2400만 고객 대상 5000억 원 규모의 보상 ▲5년간 7000억 원 규모 정보보호 투자 ▲보안 생태계 조성안 등을 포함한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오는 14일까지 약정 해지 고객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조치가 오히려 고객 이탈에 불을 붙이는 형국이다. 발표 다음날인 5일 하루 동안 SKT 순감 가입자는 3865명으로 나타났다. SKT에서 KT와 LG유플러스로로 이동한 고객은 1만660명에 달했다. 이는 전일 대비 128%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가입자 이탈은 14일까지 지속될 전망이며, 이는 SKT의 실적에 타격을 줄 전망이다. 실제 지난 5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한 유영상 SKT 대표는 “최대 500만 명까지 이탈 가능하며, 손실 규모는 3년간 최대 7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물론 실질적인 손실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위약금 면제 대상은 휴대폰 가입자에 한정되며, 인터넷·IPTV 등의 결합상품은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고객이 직접 매장을 방문해야 환급을 받을 수 있다는 번거로움도 이탈을 막는 요인이다.
하지만 불만은 계속되고 있다. 사고 발생 이후 고객은 물론 정치권까지 SKT가 위약금을 면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SKT는 만관합동조사단의 결과를 보겠다는 입장으로 일관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행태는 고객 실망으로 이어졌다. 실제 일부 커뮤니티와 집단소송 카페 등에서는 “다시는 SKT를 쓰지 않겠다”는 고객의 번호이동 후기가 잇따르고 있다.
◇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 가능성에 이목 집중… 고객 신뢰 회복 쉽지 않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SKT는 역대 최대액의 과징금도 부과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상 위반에 따른 과징금은 최대 매출 3%까지 부과할 수 있다. SKT의 지난해 매출은 약 17조9406억원으로 최대 5300억원까지 부과가 가능하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SKT를 강도 높게 비판했으며, 과징금 부과를 결정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SKT의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해 강력한 처벌 의지를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과징금에 업계와 전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과기정통부는 SKT의 신고 지연과 자료 제출 미흡도 문제 삼고 있다. 실제 과기정통부는 SKT가 유심 해킹 사고를 발견하고도 24시간 내 신고해야 한다는 의무를 다하지 않은 점, 자료 보전 명령을 받고도 포렌식 분석이 불가능한 서버 2대를 제출한 점 등에 대해 과태료 부과 및 수사 의뢰를 예고하고 있다. 법적 분쟁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며 잡음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증권가에선 올해 3분기부터 과징금 부과, 고객 이탈, 보상 비용 등의 악재가 SKT의 실적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하며, 실적 하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