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효과? 현대그룹 대북사업 관련주 ‘들썩’··· 남북경협 재개 기대

정동영 통일부 장관 내정으로 남북경협 기대감 급부상 현대아산 지분 82% 보유 현대엘리베이터 등 관련주 상승세

2025-07-03     신종모
이재명 정부 출범과 정동영 의원의 통일부 장관 내정을 계기로  현대그룹의 대북사업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급부상하고 있다./인공지능 생성 이미지, 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이재명 정부 출범과 정동영 의원의 통일부 장관 내정을 계기로 17년간 중단된 현대그룹의 대북사업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급부상하고 있다. 과거 남북경협의 상징이었던 현대그룹은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조성을 통해 관광객과 북한 근로자 고용이라는 성과를 거뒀으나, 지난 2008년 이후 정치적 변화로 사업이 전면 중단됐다. 하지만 대북 업무 전문가인 정동영 후보자의 복귀와 함께 현대무벡스, 현대엘리베이터 등 관련주가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그룹의 대북사업 역사는 1998년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의 ‘통일소’ 500마리 방북에서 시작됐다. 남북 화해 분위기 조성의 상징적 사건이었던 이 방북은 이듬해 현대아산 설립으로 이어졌고, 본격적인 남북경협 시대를 열었다.

현대그룹이 추진한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조성은 남북경협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았다. 금강산 관광에는 총 195만여 명이 다녀왔고, 개성공단에는 125개 국내 기업이 입주해 북한 근로자 5만5000여명을 고용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다. 남북 분단 이후 최대 규모의 경제 협력 사업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2008년 금강산 관광객 총격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상황이 급변했다. 남북 관계가 경색되고 이어 보수 정권이 들어서면서 현대그룹의 대북사업은 사실상 전면 중단됐다. 현대아산은 막대한 손실을 입었고, 북한에 남아있는 시설물 훼손으로 인한 추가 피해도 감수해야 했다.

그런데도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지속해서 대북사업 재개 의지를 표명해 왔다. 2021년 6월 이인영 통일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빨리 남북관계가 잘 풀려서 금강산과 개성공단이 재개되길 바라고 현대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재개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사진=현대그룹

정동영 재등판에 현대그룹 등 남북 경제협력 기대감 고조

정동영 의원의 통일부 장관 내정은 현대그룹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 후보자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통일부 장관을 역임하며 개성공단 사업을 직접 이끌고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단독 면담을 하는 등 대북 업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정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인선을 통해 이재명 정부가 과거 진보 정권의 대북 온건 기조를 계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중소기업중앙회는 정동영 후보자 지명에 대해 "남북 경제협력 사업 재개를 주도할 적임자"라며 기대감을 표명했다.

정치적 변화는 주식 시장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대선 이후 현대무벡스와 현대엘리베이터의 주가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현대엘리베이터는 대북경협의 핵심 기업인 현대아산의 지분 82.03%를 보유하고 있어 향후 대북사업 재개 시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엘리베이터가 보유한 대규모 인프라 구축 기술과 경험은 북한과의 경제 협력 재개 시 필수적인 역량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물론 대북사업 재개에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지 17년이 지났고,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에도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북핵 문제와 유엔 제재 등 구조적 제약 요인들도 여전히 존재한다.

하지만 산업계 전반에서는 새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대그룹 역시 대북사업이 그룹의 정체성이자 DNA라는 점을 강조하며 재개 시점에 대비한 준비를 지속하고 있다.

현대그룹이 과거 남북경협의 상징으로서 쌓아온 경험과 노하우, 그리고 새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 신호는 향후 대북사업 재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정동영 후보자의 통일부 장관 임명이 확정되고 남북 관계 개선이 구체화 된다면, 현대그룹은 다시 한번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사업 재개까지는 국제정세 변화와 북한의 호응, 그리고 구체적인 정책 실행력 등 여러 변수가 남아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