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배터리 만리장성 넘었다···中 체리車와 대규모 계약
국내 최초 中 업체에 원통형 46시리즈 수출… 약 12만대 분량··· 한국 NCM 기술 성능, 中 LFP 넘는다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완성차 대표 기업 체리기차(Chery Automobile)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 대규모 공급 계약을 성사시키며 중국 시장 공략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특히 중국 주력 제품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대신 LG에너지솔루션의 삼원계(NCM: 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채택한 것은 한국 주력 제품이 중국 LFP 배터리와 치열한 경쟁에서 우월성을 인정 받은 것이라는 해석이다.
16일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체리기차와 총 8GWh 규모의 46시리즈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6년이며, 내년 초부터 본격 공급에 나선다. 이는 한국 배터리 기업이 중국 완성차 업체에 원통형 배터리를 대량 수출하는 첫 사례로 기록된다.
이번에 8GWh 규모 계약은 전기차 약 12만대 탑재 가능한 대규모 프로젝트다. 체리기차는 자사 주력 전기차 모델에 46시리즈를 우선 적용하고, 그룹 내 다른 차량으로의 확대 적용 방안도 양사 간 협의 중이다.
46시리즈는 LG에너지솔루션의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핵심 제품이다. 기존 원통형 배터리 대비 출력과 에너지 밀도가 최소 5배 이상 높아 주행거리와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특히 충·방전 속도가 빠르고 열관리 효율이 우수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차세대 규격(폼팩터)으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성과가 LG에너지솔루션의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한다. 자국 배터리 업체 선호도가 높은 중국 완성차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했다는 점에서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분야의 기술적 우위를 확인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의 삼원계(NCM: 니켈·코발트·망간) 46시리즈가 중국 배터리 업계 주력 제품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제치고 선정된 점이 눈길을 끈다. 저온 환경에서의 출력 및 충전 효율, 에너지 밀도 부문에서 경쟁 우위를 인정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대체 불가능한 기술력과 고객 가치를 바탕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격차를 좁히고, 다가올 슈퍼사이클을 선점해 나가겠다"며 "체리기차와의 계약은 46시리즈의 글로벌 확장에 결정적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46시리즈 사업 확장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해 11월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과 대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최근 '인터배터리 2025' 전시회에서는 46시리즈의 안정성과 출력 효율을 강화한 모듈·팩 솔루션 CAS(Cell Array Structure)를 공개하며 기술력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