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빗썸, ESG위원회 ‘실체 불투명’… E·G 빠진 ‘워싱’ 의심

봉사·기부에만 머물러··· "무늬만 ESG" 지적

2025-06-16     김학형 기자
빗썸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위원회' 관련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빗썸라운지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세 정보가 게시돼 있다./그린포스트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구성했다면서, 관련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 사회공헌에 치우친 ‘워싱’ 수준을 넘어, 위원회 실체가 의심되는 정황도 포착됐다.

16일 그린포스트 취재를 종합하면, 빗썸은 지난 2023년 11월 공시한 3분기 보고서에서 “ESG위원회를 발족해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 나갈 예정”이라고 기재했고, 이듬해 4월 제출한 2023년 연간 보고서에서 “ESG위원회를 발족했고”라고 밝혔다.

하지만 구체적인 출범 시기, 위원 구성, 회의 개최 여부, 활동 실적, 중장기 목표 등은 공시 자료 외 공식 누리집, 보도자료 등 어디에서도 확인할 수 없다.

ESG 경영을 내세우면서 관련 정보공개가 이처럼 ‘제로’에 가까운 기업은 극히 이례적이다. ESG 정보 공시는 아직 법적 의무가 아니지만(2026년 시행 목표), ESG 경영을 공식 표방하면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쟁사인 두나무(업비트 운영사)는 지난 2022년 4월 ‘ESG경영위원회’를 출범하며, 위원회를 구성하는 내부 경영진 위원과 외부 전문가 위원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ESG 추진 전략과 이행 내역 등의 정보는 공식 누리집에 게시돼 있다.

빗썸 스스로도 ‘시장감시위원회’를 신설했을 때와 비교된다. 빗썸은 작년 7월 시장감시위원회를 새로 설치하며, 내외부 전문가 위원의 명단부터 역할 등을 세세하게 공개한 바 있다.

특히, 당시 보도자료에서 빗썸은 “이로써 기존 투자자보호·내부통제·자금세탁위험관리·거래지원심의위원회에 이번 시장감시위원회 신설로 총 5개 위원회 체계를 갖췄다”라고 명시했다.

지난 2023년 11월부터 작년 4월 사이 발족했다고 보고한 ESG위원회를, 작년 7월 기준 5개 위원회 체계에는 넣지 않았다.

이에 빗썸 관계자는 “(ESG위원회에 관해) 언급할 것이 없다”라고 즉답을 피했고, “2023년 12월 창립 10주년을 맞아 사회공헌 활동을 적극적으로 해보자 해서, ‘빗썸나눔’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빗썸은 2023년 12월 100억원의 기금을 출자해 이듬해 1월 빗썸나눔을 설립했다. 원래 공익재단을 설립하려 했으나 요건과 절차가 까다로워, 우선 일반법인으로 설립했다. 작년 12월에는 100억원을 추가 출자해 사회공헌 커뮤니티 공간(빗썸나눔센터)을 조성했다.

업계에서는 기부, 봉사 등에 치우친 활동을 온전한 ESG 경영 실적으로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한 회계법인 ESG 컨설팅 전문가는 “사회공헌 활동도 ESG 경영의 일부지만, 거버넌스 개편이나 환경 대응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자 신뢰 확보가 어렵다”라며 “상장 예정 기업이라면 위원회 실체나 논의 내용 정도는 기본적으로 공개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