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에 1조원 출자··· “캐즘 이후 시장 선점”
전기차 캐즘 딛고 미래 경쟁력 강화 나서 “사업회사 생산능력 확대·안정적 재무구조 구축 지원”
포스코홀딩스가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수요 정체기인 ‘캐즘(Chasm)’을 오히려 기회로 삼아 이차전지 소재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낸다. 그룹 차원의 대규모 자금 투입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나선 것이다.
포스코홀딩스는 13일 이사회를 열고 이차전지소재 계열사인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의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캐즘 이후 본격화될 시장 성장에 대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재무구조 개선과 책임경영을 실현하려는 포석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우선 포스코퓨처엠이 추진하는 1조1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5256억원을 투입한다. 지분율(59.7%)에 해당하는 신주 100%를 인수해 그룹 차원의 확실한 지원에 나선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과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에도 각각 3280억원, 690억원을 출자한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호주 필바라미네랄스와 합작한 수산화리튬 제조사,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는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을 담당한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캐나다 GM과의 양극재 합작 공장, 포항·광양 양극재 공장 증설 등 국내외 생산능력 확대에 투입할 계획이다. 시설자금 1810억원, 운영자금 2884억원,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6307억원 등으로 세분화해 미래 성장 기반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 확보와 책임경영 강화, 재무구조 개선에 초점을 맞춘 결정”이라며 “시장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오히려 선제적 투자로 중장기 경쟁우위를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도 최근 캐나다 퀘벡의 GM 합작 공장 현장을 직접 찾아 “이차전지소재 시장이 재도약하는 시점에 맞춰 북미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 회장은 취임 이후 ‘2코어+뉴엔진’ 전략 아래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신사업에 그룹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외 신규 가동 공장의 조기 정상화와 고객사 인증 확대를 통해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포스코그룹은 북남미 리튬 염수, 호주 리튬 광산 등 자원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리튬 수요가 전년 대비 26% 증가한 146만t에 이를 것이란 전망에 선제 대응하는 차원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차전지 시장이 올해 메모리반도체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며 “포스코그룹의 이번 대규모 투자는 캐즘 이후 본격화될 시장 성장에 앞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장기 포석”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