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국내 친환경차 '돌풍'··· 현대차·기아 전기차 판매 80%↑

국내 5개 완성차 기업, 4월 12만8639대 판매 … 친환경차 판매↑ 수입차 판매 80%도 친환경차··· "보조금의 힘"

2025-05-09     임호동 기자
4월 내수 시장에서 판매가 확대된 친환경차. /AI 생성형 이미지

현대차·기아의 4월 전기차 판매가 80% 급증하는 등 친환경차 판매 성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차의 80%도 친환경차로 집계되는 등 국내에서 친환경차 돌풍이 일었다. 미국의 자동차 관에 대응해 확대된 보조금 효과로 풀이된다.

최근 국내 완성차 업계는 지난 4월 판매실적을 공개했다. 국내 5개 완성차 업계(현대자동차, 기아,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한국GM)의 내수 판매량은 총 12만8639대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이 기간 판매량(6만7510대)의 35%인 2만3655대가 친환경 차량(전기차 5748대 포함)이었다. 기아도 판매량(5만1005대)의 45.4%인 2만3162대(전기차 6024대 포함)가 친환경차였다. 양사 모두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80%나 급증했다.

완성차 업계는 지난 4월 판매실적을 최근 공개했다. 국내 5개 완성차 업계(현대자동차, 기아,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한국GM)의 내수 판매량은 총 12만8639대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시장에서는 현대차와 기아가 현대차, 기아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친환경차 중심의 신차 판매 호조가 띄었다. 특히 현대차의 경우 지난달 내수시장에서 친환경차 2만3655대(하이브리드차 1만7822대, 전기차 574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6.9% 증가한 수치다. 

기아 역시 지난달 내수시장에서 친환경차 2만3162대(하이브리드 1만7138대, 전기차 602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3.2% 증가한 수치다. 무엇보다 양사 모두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80%씩 늘어나는 성과를 거뒀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외 모두 판매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거시적인 경영환경 변화에도 디올 뉴 팰리세이드,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EV4, 타스만 등 신차판매를 추진하며 현지화 전략을 고도화해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KG모빌리티도 무쏘EV,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신모델 출시에 힘입어 내수시장에서 판매 성장세를 이어갔다. 르노코리아는 SUV 신차 그랑클레오스가 내수시장 총 판매량의 83.3%인 4375대를 책임지며 선방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수입차 브랜드에서도 비슷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의 발표에 따르면 4월 수입 승용차 신규 등록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한 2만1495대로 나타났다. 연료별 판매량은 하이브리드차 1만3691대, 전기차 3712대, 가솔린 3680대, 디젤 412대로, 전체 판매량의 81.0%가 친환경차로 나타났다. 친환경차 판매 강세가 나타난 것이다.

반면 한국GM은 쉐보레 올 뉴 콜로라도를 제외한 전 모델의 판매가 감소하며 국내 완성차 5개사 중 유일하게 두자릿수 감소를 기록했다. 수요를 끌어올릴만한 신차가 없다는 점이 실적부진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확대 등 친환경차 판매 지원과 완성차 기업의 친환경차 신차 출시가 맞물린 효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 4월 초 미국이 해외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및 부품에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자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정부는 전기차 수요 진작을 위해 전기차 보조금 지원을 확대했다. 환경부는 기업 할인액에 비례한 추가 보조금 기한을 연장하고, 기업 할인 노력과 연계해 할인율을 상향한다. 또한 신차 구매시개별 소비세 감면, 공공부문 업무차량 친환경차 전환 조기 실현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전기차 구매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구매 보조금이 유지될 경우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러한 효과가 지난 4월에 실제로 나타난 셈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과 같은 지원책이 내수 진작에는 효과가 있지만, 미국의 품목 관세로 인한 실적 위기의 근원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실적은 해외 수출 비중이 크고, 그중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부분이 절반가량을 차지한다”며 “완성차기업들이 느끼고 있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미국 행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자동차 관세를 완화하는 것이 우선 과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