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美조선업 재건 행정명령 서명···K조선에 열리는 '기회의 문'
트럼프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 韓, 군함·친환경선박건조·MRO 세계 최고 능력 보유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조선업 재건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 한국 조선업계에 '기회의 문'이 활짝 열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미국의 해양 패권 강화와 중국 견제를 위한 이번 조치가 세계적인 조선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조선업계에 실제로 '수주 대박'을 안겨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국은 현재 글로벌 선박 생산량의 0.2%만 차지하는 반면, 중국은 74%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1위 조선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는 한국은 미국의 조선업 재건 계획에 있어 핵심 파트너로 급부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현지시간) 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는 ‘미국의 해양 지배력 회복’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조선업 재건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내비치며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예전엔 하루에 한 척의 배를 만들곤 했다”면서 “사실상 지금은 1년에 한 척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행정명령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에 의해 준비됐다. 미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해양, 물류, 조선 부문 등에 대한 불공정 표적화 조사를 지시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USTR은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중국의 해양 패권 확대를 견제하고 미국의 해양 지배력을 회복하기 위한 포괄적인 전략의 일환이다.
한미 간 조선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조선협력을 K조선 도약의 발판으로 만들기 위해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양국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조선협력 패키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협력 분야로는 선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미 해군 함정의 건조 협력, 친환경 선박 기술 협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함정 MRO 분야 협력을 언급했으며, 미국 측에서 한국 조선업계에 이 분야의 협력을 요청하는 러브콜을 보낸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국의 조선소가 미 해군 함정 건조에 참여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군 선박 건조와 관련해 동맹국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은 이미 9년 연속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수주 세계 1위를 기록하는 등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이 외에도 수소운반선, 암모니아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 분야에서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산업부는 올 하반기 중 ‘K조선 차세대 5대 먹거리 육성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의 조선사들은 이미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협력이 현실화될 경우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의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은 한국 조선업에 새로운 기회가 열어주는 만큼, 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산업부는 조선기자재 업체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연구개발(R&D)-실증-사업화 등 전주기에 걸친 지원방안을 담은 ‘조선산업 소부장 강화방안’을 상반기 중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LNG 운반선에 이어 수소운반선, 암모니아추진선 등 차세대 친환경 선박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기술적 우위를 지속해야 한다.
미국과의 협력이 확대된다면 한국 조선업계는 단순한 선박 건조를 넘어 미 해군 함정의 설계부터 건조, 유지보수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친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은 단순한 미국 내 정책을 넘어 글로벌 조선업 지형을 재편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으나 아직 사업 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