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기 둔화 유발 정책과 자산관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된 지 벌써 5개월이 지났고, 취임한 지도 2개월여의 시간이 흘렀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초기 신정부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는 상승하였고,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도 상승하는 국면이 일시적으로 형성되었으나, 지금 시점에서는 이 당시와는 사뭇 다른 형국의 시장이 연출되고 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 500 지수는 지난 2월 중순 6100포인트를 상회하다가 3월 말 현재 5500포인트가 무너지는 수준까지 하락하였으며, 1월 중순 4.80% 수준까지 상승하였던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3월 말 현재 4.05% 수준까지 하락하여 거래되고 있는 상황이다.
역시 현재 글로벌 시장의 가장 큰 화두는 트럼프의 관세정책, 그리고 정부지출 축소라고 할 수 있겠다. 관세정책은 일시적으로 수출입 물건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겠으나, 결국은 글로벌 교역량의 감소를 유발하여 경기의 둔화를 유도하는 효과가 더 크겠고, 이는 ‘트럼프 1기’ 당시의 상황을 복기해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조 바이든 정부의 큰 정부(정부지출 확대)와 달리,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트럼프 정부는 공무원 조직의 축소 등 정부지출의 축소를 도모할 것이고, 이는 또한 경기의 둔화를 유발하는 정책으로 간주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핵심 정책 모두가 경기의 둔화, 혹은 더 나아가 침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은 정책들이라고 해석될 것이다.
이 밖에도 불법 이민자 추방의 정책이 주요 추진 정책으로 꼽을 수 있는데, 이 부분 역시 미국 내 경기의 가장 큰 요인인 소비를 제한하는 정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유효한 투자자산은 무엇일까?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리스크 선호 현상이 축소되는 시장 상황에서 가장 주목받는 자산은 아무래도 주요 선진국 국채와 이에 준하는 안정성을 보유한 ‘우량한 채권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국면에서의 투자 방식은 위험자산을 최대한 축소하고, 안전자산으로의 회귀 현상이 짙어지리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특히나 자산관리에 있어서 가장 안전하게 운용해야 할 자산, 연금자산에 있어서는 더더욱 안전성이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마경환 GB투자자문 대표 프랭클린템플턴운용 리테일총괄본부장과 글로벌파트너스 대표 등을 역임한 자산관리 전문가. 연세대학교 자산관리 최고위과정 외래교수와 한국경제신문 '머니팜' 필진 등으로 활동. 대한투자증권(현 하나금융투자) 해외상품 담당자로 약 12년 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