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모빌리티쇼 개막...현대차·기아 혁신적 친환경차 선보여

'2025 서울모빌리티쇼'는 '친환경 페스티벌' 현대차, 7년만에 신형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 발표 기아, 브랜드 최초의 목적기반 모빌리티 'PV5' 눈길

2025-04-03     임호동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임원들이 3일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에서 신형 수소 전기차 '디 올 뉴 넥쏘'와 전용전기차 '더 뉴 아이오닉 6'를 공개하고 있다./임호동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언론공개 행사에서 새로운 수소전기차 '디올 뉴 넥쏘(The all-new NEXO)'와 전기전용차 '더 뉴 아이오닉6(The new Ionic6)'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4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막하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이들 차량과 더불어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전기차, 목적기반 모빌리티(PBV) 등 다양한 친환경차를 선보인다. 이로써, 세계 친환경차 리더로서의 위상을 확인시키겠다는 계획이다.

◇ “하이브리드-전기차-수소차까지” 친환경차 풀라인업 선보이는 현대차

정유석 현대자동차 국내사업본부장 정유석 부사장이 계 최초로 공개한 '디 올 뉴 넥쏘'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현대자동차 제공

먼저 현대차는 수소 비전과 전동화라는 두 가지 주제로,  다채로운 전시장을 꾸몄다. 관람객들이 여기에서 다채로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구성했다.

현대차는 이번에 수소전기차,하이브리드차, 전기차, 고성능 전기차로 구성되는 친환경차 라인업을 선보인다. 

이 가운데 주인공은 새로운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와 전용전기차 ‘더 뉴 아이오닉 6'이다. 디 올 뉴 넥쏘는 현대차가 지난 2018년 3월 수소전기차 ‘넥쏘’를 출시한 이후 7년만에 선보이는 완전 변경 모델로, 주행시 탄소배출량이 없는 친환경차다.

현대차는 디 올 뉴 넥쏘에 2개의 인버터를 장착한 2-스테이지 모터 시스템을 적용해 효율을 90%까지 끌어올려, 최고 모터 출력이 150kW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모델 대비 시스템 효율은 1.3%p, 모터 출력은 25% 향상된 수치다. 현대차는 이 차가 일상 주행 시에는 1개의 인버터를, 고속 주행 시에는 2개의 인버터 모두를 가동해, 최적의 모터 출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런 성능 개선으로 디 올 뉴 넥쏘는 0km/h부터 100km/h까지 7.8초의 가속성능을 달성했다. 도한, 단 5분 내외의 짧은 충전시간으로 7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한편, 전기 콘셉트카(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 ‘인스터로이드’와 N 브랜드의 고성능 전기차 'RN24',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펠리세이드 하이브리드’ 등도 출격한다.

정유석 현대차 국내사업본부 부사장은 “디 올 뉴 넥쏘는 깨끗한 공기 속에서 모두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미래를 현실로 만드는 차량”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이번 전시에서 ▲수소의 유일한 부산물인 물을 모티브로 마련된 ’H2 존’ ▲전기차의 구매부터 서비스, 충전, 매각까지를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EV 존’ ▲현대 친환경차 풀라인업의 완성을 알리는 ‘라인업 존’ ▲N, 캐스퍼, 현대컬렉션 등 현대자동차의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상품을 갖춘 ‘현대 스토어’ 등 총 4가지의 테마 전시관을 꾸몄다. 총 10종 18대의 차량이 전시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 현대차관에서 수소와 전동화를 필두로 한 다양한 전시와 체험 요소를 통해 현대차의 현재와 미래 방향성을 공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기아, 차별화된 모빌리티 기술력으로 그리는 미래상을 보여주다

정원정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이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에서 PBV 사업 비전과 'PV5'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기아 제공

기아는 이번 전시에서 ▲‘더 기아 PV5’(The Kia PV5, 이하 PV5)를 중심으로 한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전용 전기차 라인업 ▲브랜드 최초 픽업 ‘더 기아 타스만’(The Kia Tasman, 이하 타스만) 등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기아 부스의 주인공은 기아 최초 목적기반차량(PBV)인 PV5다. 고객 관점에서 개발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비즈니스 환경에 맞춰준다는 목표로 기획된 차량이다.

현대차그룹의 PBV 전용 플랫폼 ‘E-GMP.S’(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 for Service)를 최초 적용해 넓은 실내 및 화물공간을 갖췄으며, 용도 별 다양한 어퍼바디 탑재를 통해 소형부터 대형 PBV까지 폭넓은 제품 라인업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PV5는 루프, 도어, 테일 게이트 등 바디 부품을 모듈화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을 적용했다. 이 시스템은 공통된 결합 구조의 장난감 블록을 조립하듯 모듈화한 차체 구조와 구성 부품을 이용해 필요한 사양에 따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정원정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은 "PV5는 기아가 추구하는 모빌리티 혁신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차종"이라며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맞춤형 솔루션'으로 모빌리티 시장의 새 지평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기아 관계자는 "PV5와 EV4, 타스만 등을 통해, 기아만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한 미래 모빌리티 세계를 소개하려고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