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회장, 세 아들에 ㈜한화 지분 11.32% 증여··· 경영승계 마무리
증여세 2218억원··· “법과 정도경영 원칙에 따라 투명하게 납부” “승계 논란 해소로 본연 사업에 집중··· 책임경영 강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 중인 ㈜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하며 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를 사실상 완료했다.
이번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에 이르러 그룹 지배구조가 안정화됐으며, 2218억원 규모의 증여세가 발생할 예정이다.
한화그룹은 이번 결정이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을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는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중 일부인 844만8970주(지분 11.32%)를 세 아들에 증여한다고 31일 공시했다.
장남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에게 363만8130주(4.86%), 차남인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과 3남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에게 각각 242만5420주(3.23%)를 증여한다. 증여는 다음 달 30일에 이뤄질 예정이다.
증여 후 ㈜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으로 재편된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이미 보유하고 있어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돼 경영권 승계가 완료되는 구조를 갖추게 됐다.
김 회장은 지분 증여 이후에도 한화그룹 회장직을 유지하며 전문적인 경영 노하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경영 자문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한화그룹은 이번 지분 증여 결정에 대해 “김 회장이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신속히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결정했다”며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된 것 아니냐는 시장의 분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분 증여에 따른 승계 완료로 한화-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출 우려가 있다”면서 “시장의 오해를 바로 잡고 주주가치 훼손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업계는 한화그룹의 이번 지분 증여로 승계 관련 논란을 해소하고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등 국가적 차세대 핵심사업에 집중해 기업가치 제고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김동관 부회장을 중심으로 한 삼형제의 경영 체제가 본격화되면서 한화그룹의 형제경영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분 증여로 경영권 승계가 완료됨에 따라 한화그룹은 본연의 사업에 더욱 집중하며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