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4월 2일 자동차 관세 25%"... 피할 방법이 있을까?
"차 수출 최대 20%까지 줄어" "미국에 투자·고용 등 '선물' 주고··· 신흥국으로 눈 돌리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 마디에 국내 자동차 업계에 빨간 불이 켜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전체 수출 물량의 절반가량을 미국에 보내고 있는 국내 자동차 업계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업계는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자동차 산업 부흥을 외치며 당선된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안을 제시하며 관세율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미국에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은 25% 이상이 될 수 있으며, 1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더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14일(현지시간) 오는 4월 2일 미국에 수입되는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정과 관세율까지 언급한 것이다.
이번 발언대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에 수입되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 이상 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내 기업들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자동차(트럭 제외)는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우 기존의 모든 무역협정과 예외규정을 무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트럼프의 발언대로 25%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에 수출되는 자동차에 관세가 적용돼 현지 가격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특히 한국 자동차 수출 물량의 절반이 미국으로 가고 있어 관세 부과가 실현되면, 국내 업계는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총 수출 대수는 278만2612대로 이 중 미국 수출 비중은 51.49%(143만2713대)를 차지한다.
특히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총 665만6584대를 판매한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판매 비중은 23.3%(154만8333대)에 달한다. 4대 중 1대는 미국에 팔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GM의 경우는 더욱 심하다. 한국GM은 지난해 총 49만9559대의 차량을 판매했는 데 이중 미국에 수출된 차량이 41만8782대에 달한다. 전체 판매 차량 중의 83.83%가 미국에 수출된 셈이다.
이에 대해 이호근 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차에 대해 2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현대자동차그룹의 수입은 약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대미 비중이 높은 한국GM은 심각한 수준의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가 현시화되면, 자동차 대미 수출이 연간 64억달러(9조 2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업계와 경제계에서는 미국 외 인도, 동남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다양한 해외 시장을 발굴, 공략하는 한편, 미국 현지 생산라인 확충 및 생산량 증가를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관계자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우 불확실성이 높아 상황을 주시하며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다양한 의견이 도출되고 있으나 아직 대책이라고 발표하긴 이르다”고 설명했다.
한국GM 관계자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메리바라 제너럴모터스(GM) 최고운영자(CEO)는 미국발 관세 대응에 준비돼 있다고 밝힌 만큼 보편 관세 때문에 사업 방향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진 않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메리바라 GM CEO는 최근 “추가 자본 지출 없이 미국발 관세 영향을 30~50% 줄일 수 있다”며 “보편 관세 대응을 위해 별도의 자본을 투입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낸 바 있다.
일각에서는 보편 관세를 협상카드로 사용하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을 진행해 국내 자동차업계의 피해를 줄여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이호근 교수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에도 미국은 25% 관세를 운운한 바 있는데,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 공장 건설 등의 협상 카드를 통해 이를 철회시킨 바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에 큰 힘이 된 전미자동차노조에 보답하는 행동으로 관세 카드를 꺼냈다는 분석도 있는 만큼 미국 현지 생산 설비 투자 및 고용 등을 협상카드로 활용해 세율을 낮추거나, FTA를 적용해 무관세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