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6월 충남 보령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 6.2%↓
편서풍이 발전소 배출 오염 물질 확산 막는 데 도움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이 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지난 3~6월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창와 기자) 2018.11.6/그린포스트코리아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이 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지난 3~6월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창와 기자) 2018.11.6/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지난 3~6월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충남 지역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최대 6.2%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 5기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2기, 경남 2기, 강원 1기)의 대기질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충남지역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 효과가 가장 컸다고 6일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56개 지점(충남 27개, 경남 21개, 강원 8개) 대기 농도를 측정한 결과 2015·2016년 3~6월 평균치 대비 충남 7㎛/㎥(29→22㎛/㎥), 경남 5㎛/㎥(27→22㎛/㎥), 강원 4㎛/㎥(29→25㎛/㎥) 감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 모델링 결과를 보면 충남 최대영향지점(보령)에서 초미세먼지 평균농도는 1.4㎛/㎥로 6.2% 낮아졌다. 시간최대 25.7㎛/㎥(15.7%↓), 일최대 7.1㎛/㎥(18.7%↓)였다.

경남 최대영향지점(고성) 평균 0.3㎛/㎥(1.6%↓), 강원 최대영향지점(강릉) 평균 0.2㎛/㎥(1.1%↓)로 상대적으로 충남에 비해 저감 효과가 떨어졌다. 대기 모델링은 정상 가동시와 미가동시 배출량 차이와 대기질을 비교하는 BFM기법이 적용됐다.

국립환경과학원측은 충남 내륙 지역이 저감 효과가 컸던 이유로 편서풍 등이 발전소에서 배출된 오염 물질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경남 삼천포, 강원 영동 등 다른 지역은 내륙 영향 등이 적어 저감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올해는 전년대비 강수일수, 강수량이 급증해 초미세먼지 농도의 개선에 유리한 기상여건 형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발전소 가동중단으로 저감된 초미세먼지는 충남 487톤, 경남 474톤, 강원 94톤 등 총 1055톤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석탄발전소 초미세먼지 배출량 4개월분인 8984톤의 약 11.7% 수준이다.

2016년 발전량당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적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온실가스 역시 5315톤이 저감된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배출량 저감으로 인한 사회적비용 감소 효과는 초미세먼지 2922억원, 온실가스 2232억원 등 총 5154억원으로 추정했다.

배출량 저감량은 가동 중지된 5기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보령 1·2호기, 경남 삼천포 1·2호기, 강원 영동 2호기)의 국가 배출량 자료와 실시간 굴뚝원격감시시스템(TMS)의 측정 자료를 활용해 산정됐다.

직접 배출되는 초미세먼지와 2차 생성 초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생성물질(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분석했다.

지난해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중단 효과와 비교한 결과에서도 미세먼지 농도가 줄었다. 충남 최대영향지점에서 동기간(6월 한달) 농도 개선 효과는 시간 최대 지난해 9.5㎛/㎥(14.1%↓)에서 올해 16.0㎛/㎥(20.9%↓)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부터 시행된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누적 배출 삭감량 증가와 강수량 증가 등 유리한 기상여건 조성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는 최대영향지점의 초미세먼지 개선효과를 분석한 결과”라면서 “노후 석탄 화력발전의 가동중단은 미세먼지의 단기간 고농도 사례를 관리하는데 효과적임을 재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