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전자·철강·건설 호조,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둔화

[출처=전경련]

 


내년도에도 한국 경제의 저성장이 이어져 2015년부터 3년간 2%대의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개최한 '2017년 경제·산업 전망 제미나'에 참석한 산업 분야별 전문가들에 따르면 내년에도 국내 주력산업의 더딘 회복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저성장 속에 전자·철강·건설 산업은 비교적 호조를 보이고, 자동차·조선·석유화학은 둔화되는 '3강 3약(3强 3弱)'의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자업종은 기존 스마트폰 중심의 성장전략은 이미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폰 시장은 2014년 29%의 성장률을 보였지만 지난해 14%, 올해 5%로 낮아졌고 내년도에도 6%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다만 듀얼카메라와 플렉서블 올레드(Flexible OLED)디스플레이 중심의 하드웨어 시장은 수요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GM 볼트(GM bolt), 테슬라 모델3(Tesla Model 3)등 세계적으로 2세대 전기차 산업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배터리 등 전기차 부품 산업 수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자동차 산업은 내년도 글로벌 자동차 수요증가율이 2%로 하락할 예정인 만큼 이같은 수요 둔화가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국내 업체들의 주력 시장인 미국은 0%, 한국은 -2%로 시장 부진이 극심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따라서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급변하는 미래 자동차 패러다임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한다면 위기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다.

조선은 극심한 발주 가뭄을 통과해 2018년까지 업황 개선이 기대되지만, 매우 더디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2017년 선박발주는 노후선박 교체만으로도 올해보다 늘어날 전망인데다, 2020년 이후 적용될 SOx(황산화물) 등 신규 환경규제로 인해 선박 교체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수주잔량이 빠르게 줄어드는 상황에 수주 개선 시점이 늦어진다면 조선사들의 매출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철강산업의 경우 자동차, 조선, 기계 등 전방산업의 침체에도 철강재·비철금속 가격이 상승한 점이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특히 원자재 가격 강세 등에도 내년 상반기 출고가격은 약 15~20% 인상될 전망이며, 최근 국내 철강업체의 수익성 개선으로 구조조정 필요성도 약화됐다고 전문가들은 덧붙였다.

건설산업 역시 긍정적이라는 전망이다. 해외 저가수주로 인한 손실 반영이 상반기 중 완료되고, 글로벌 재정확대 정책기조에 따른 AIIB(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와 이란시장의 신규 발주 때문이다.

다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주택신규분양 둔화가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최근 3년간 주택시장 호조에 따른 주택매출 급증으로 건설사의 영업이익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석유화학은 수요증가가 신증설규모보다 우위인 상황이 이어지겠지만 상반기 경기 정점을 경험한 이후 하락국면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다. 시설 정기보수가 대부분 상반기에 마무리 되고, 하반기 북미 ECC(에탄분해시설) 신증설 물량 출회가 이같은 업황 전환의 주요인이라는 설명이다.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은 내년 국내 경제가 소득 증가 부진, 가계부채 리스크, 건설경기 둔화 등 내수 부진으로 2015년 이후 3년 연속 2%대 저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내년도 대외여건은 올해보다 나아져서 수출은 미약하게나마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2017년 상반기 대외경제를 국가별(지역별)로 보면, 미국의 경우 소비 중심의 성장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기준금리가 완만하게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기업 부채와 과잉 공급 축소 등으로 경기가 둔화되지만, 갑작스런 냉각(경착륙)보다는 성장률 급락 이후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L자형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강 원장은 예상했다. 

유로존과 일본은 각각 브렉시트 협상과 아베노믹스 한계로 경기 회복세가 제약될 것으로 전망했다.

강 원장은 "국내경제는 내수 추가 침체를 방어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단기적인 경기 부양과 잠재성장률 제고 및 경제 체질 강화가 병행돼야 하고, 소득 계층과 자산 규모를 고려한 가계부채의 질적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fly1225@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