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공동프로젝트 첫 번째 순서...물 정책 및 물 절약 기술의 현황과 과제 점검

 


애덤 스미스는 “공기와 물 혹은 무한히 존재하는 자연의 다른 선물들을 사용할 때 인간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이제 시대가 바뀌어 대동강 물을 팔아 돈을 버는 봉이 김선달의 얘기는 '전설'이 된지 이미 오래다. 물이 더 이상 ‘물 쓰듯’ 펑펑 써도 되는 무한한 자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세계은행은 지난 5월 보고서를 통해 2050년까지 인도, 중동 등 세계 대다수 지역의 GDP가 물 부족으로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먼 곳을 들여다보지 않아도 당장 우리나라는 올해 이례적인 폭염과 가뭄으로 저수지 저수율이 평년의 73% 수준에 불과해 올 가을 겨울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이제는 ‘물 절약 실천’이라는 구호만으로는 변화무쌍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물 절약을 실현하기 어려운 시대가 도래했다.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물 관리 체계 구축과 관련기술의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할 때다.

위기를 기회로 맞아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독보적인 기술을 육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오는 20일 개최되는 환경재단·환경TV 공동 기후변화 프로젝트1 ‘기후변화 대응 물 절약 정책 세미나’에서는 미디어와 NGO가 만나는 공동세미나를 통해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열린 토론의 장이 마련된다.

홍영표 국회 환노위원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정득모 서울시물연구원장, 이종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기술개발단장 등의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또 남궁은 명지대 교수를 좌장으로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김상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박사, 송미령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 강찬수 중앙일보 논설위원의 열띤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세계 물 시장 규모는 3년 전에 600조원 규모를 넘어섰고 2018년에는 800조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한다.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물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국내 물 절약 기술을 육성하는 일은 우리의 수자원을 아끼는 첩경일 뿐 아니라 기술의 해외수출을 통해 경제적 이익까지 향유할 수 있는 '창조적 경제' 행위라 할 수 있다.

기후변화 대응의 새로운 해법을 찾는 열린 토론의 장이 될 ‘기후변화 대응 물절약 세미나’에서 최악의 가뭄사태를 해결하고 물 부족의 공포에서 벗어날 솔로몬의 지혜를 모아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일 시 : 2016년 9월 20일(화) 오전 10시~12시

■ 장 소 :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 A홀

■ 주 최 : 환경TV/환경재단 

■ 문 의 : 환경TV 대표전화 02) 525-8878 / 이메일 news@eco-tv.co.kr

binia96@eco-tv.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