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난 20여 년 사이 전력 소비 증가율이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회원국인 34개국 중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율의 원인으로는 산업용 전기 사용량의 증가가 꼽혔다. 산업용 전기요금이 싸다보니 '펑펑' 썼다는 분석이다.

8일 국제 에너지 기구(IEA)에 따르면 OECD 전체 회원국의 전력 생산량은 1990년 7,629TWh(시간 당 테라와트)에서 2013년에는 1만 796TWh로 3,167TWh 정도 늘었다. 비율로 보면 약 41.5% 늘어난 셈이다.

송전탑 모습. 출처=픽사베이

 

국가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량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량은 105TWh에서 538TWh로 433TWh가 늘었다. 증가율은 410.5%. OECD 평균치 대비 10배가량 증가했다.

이는 OECD 내 다른 국가와 비교해도 높은 수치다. 증가율 2위를 차지한 터키의 경우 317.3% 증가해 비율로만 본다면 한국과 100%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이어 아이슬란드(301.7%), 칠레(297.7%), 룩셈부르크(196.3%) 순이었다.

OECD 회원국 중 국내총생산(GDP)이 상위권인 국과들과 비교해도 우리나라의 전력 소비 증가율은 두드러진다. 2016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중 GDP 1위인 미국은 33.8%, 3위와 4위인 일본과 독일은 각각 24.3%, 14.6% 수준이었다. 5위인 영국도 12.1%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11위다.

왜 이렇게 전력 소비 증가세가 두드러질까. 이는 산업용 전력 사용량의 증가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중론이다.

에너지 경제 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가정용 전력 소비량은 2012년 기준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26위다. 하지만 여기에 산업용과 공공·산업용까지 합친 1인당 전체 전력 소비량은 8위로 대폭 뛰어 오른다. 그만큼 산업용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방증이다.

반면 많이 쓰면 쓸 수록 전기요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누진제를 적용한 가정용 전기와 달리 산업용 전기의 경우 각종 특혜가 주어져 '값싸게' 전기를 쓸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한편 전경련은 지난달 1일 주요국들이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있다며 한국 역시 산업용 전력 판매 단가를 낮추라고 주장한 바 있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