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 해양 CCS 기술 개발 실증 준비 완료"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육상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바다 속 해저 지중(地中)에 저장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해양수송·저장기술(CCS, Carbon Capture & Storage)의 실증 준비를 위한 해양 CCS 연구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27일 밝혔다.

CCS 기술 개념 (출처=해양수산부)

 


CCS 기술은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바다 및 땅속에 안전하게 수송·저장하는 기술로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가장 현실적인 온실가스 감축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오늘날 세계는 기후변화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글로벌 CCS 연구소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위험을 예방하려면 지구 기온의 평균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와 비교해 2도 이내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지구의 기온을 줄이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온실가스 감축이다.

IPCC 보고서에 따르면 CCS 기술은 201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중 15~55% 정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도 이산화탄소 감축을 실현하는데 CCS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화석연료 발전소는 우리나라에만 53기(2015년 기준) 운영 중이다. 석탄 수입량도 세계 4위에 달한다. 앞으로 24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증설되는 2021년이면 총 77기가 가동돼 그 정도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CCS는 이산화탄소 대량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몇 가지 대안들 중 우리나라가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옵션이다. 또한 발전소와 산업 플랜트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사실상 '제로'에 가깝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우리나라가 CCS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는 이유다. 

해양 지중 저장 지질 구조 (출처=해양수산부)

 


이에 정부는 2010년 중장기 로드맵인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마련하고 부처별 역할분담에 따라 CCS 실증사업 추진 및 실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진행해 왔다.

해수부는 이산화탄소를 바다 속에 저장하는 분야를 맡아 지난 2005년부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한국석유공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서울대, 고려대, 카이스트, 해양대, 삼성중공업 등 산·학·연 15개 기관 200여 명이 참여해 해양 CCS 핵심기술개발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 10년간 개발을 진행해 100만 톤급 해양 CCS 실증사업 저장후보지(동해 서남부 해역)를 도출하고 이산화탄소 수송·저장 개념설계를 완료했다. 또한 퇴적층 내 이산화탄소 모니터링 기술개발, 해양환경관리 기술 등을 개발하여 실증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이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양 CCS 실용화의 첫 단계인 '100만 톤급 해양 CCS 실증사업'을 기획해 지난해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 유엔기후변화총회에서 채택된 파리협정 이후 신기후체제에 대비하기 위해 해양 CCS 실용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앞으로 10년 동안 이뤄질 중장기 대규모 사업인 이번 실증사업은 해양 CCS 인프라 구축·운영 등 총 7,225억 원이 투자된다. 실증사업이 성공하면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전망치 대비 37%를 감축할 수 있다.

더불어 2050년까지 3조 달러(한화 약 3,52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세계 CCS 시장에 국내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업 총괄 책임자인 강성길 선박해양플랜트 박사는 "지난 10년간 추진한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기술을 통해 100만 톤급 해양 CCS 실증추진을 위한 핵심기술을 성공적으로 확보했다"며 "이를 활용해 조속히 실증을 거치고 2030년에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CCS가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출처=해양수산부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