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기후변화 정상급 회의 개최부터 8년간 '끈' 놓지 않은 결과물이란 평가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출처=UNFCCC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전세계 195개국이 의무적으로 참여하는 의무적 기후변화 대응이란 결과물이 도출됐다. 32쪽 29개 조항으로 구성된 '파리 합의문(Paris)' 얘기다.

만장일치를 특성으로 하는 이 회의에서 195개국이나 되는 이해당사자들의 '일치'를 얻어낸 1등 공신은 누굴까. 외교가에서는 주저없이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꼽는다. 취임 이후 우여곡절 속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의 끈을 놓지 않고 끌고 온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반 총장은 2007년 취임하자마자 곧바로 기후변화 정상급 회의를 소집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이 4차 보고서를 발간한 시점에 맞춰 전세계 정상들을 '기후변화'란 단일 주제로 모은 것이다. 이게 시작이었다.

이 노력 덕분에 같은해 12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1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도쿄의정서'가 감축을 규정한 선진국뿐 아니라 개발도상국들도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도록 하는 내용이 로드맵에 담겼다.

이후 두 번째 기후변화 정상급 회의를 2009년에 다시 갖는다. 이를 통해  '장밋빛 전망'을 했던 덴마크 코펜하겐에서의 제15차 당사국총회는 그러나 반 총장의 기대와 달리 '실패'로 남았다. 친정인 한국 정부가 배출전망치(BAU) 대비 30%라는 감축 목표를 내며 지원했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하지만 반 총장은 포기하지 않았다. 지난해 9월 다시 한 번 기후변화 정상급 회의를 개최했고, 이 자리에서 기업이나 시민사회, 지방정부 등 '비정부 행위자'를 협약 안에 가져오자는 합의를 이끌었다.

또 탄소 경제의 중심인 '탄소가격제(Carbon Price)'라는 개념을 넣자는 동의도 얻었다. 이 두 가지 중요한 결정은 올해 파리 합의문에 고스란히 명문화돼 담겼다. 반 총장이 노력한 결실이라는 평가다.

최재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는 "반 총장이 1등 공신이라는 평가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취임 이후 지금까지 각국 정부가 기후변화협약에 관심을 두도록 계속해서 끈을 이어 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프랑스 파리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찾은 영화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왼쪽)와 반 총장이 한 자리에서 만났다. 출처=UNFCCC

 

반 총장은 특히 올해 더 바쁜 행보를 보였다. 합의의 중심인 G2 국가들이 엇나가지 않도록 나선 행보다.

지난 8월 초 전격적으로 백악관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열고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국제적 노력이 필요하며 미국이 주도해달라고 압박했다. 당시 반 총장은 미국의 '청정전력계획'을 높이 평가히고 "이번 계획은 미국이 기후변화에 관한 한 다른 나라의 리더가 됨으로써 세계를 바꿀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말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파리 당사국총회 직전 중국 관영통신사인 신화통신과 인터뷰를 자청했다. 이 인터뷰에서 반 총장은 중국이 기후변화 협상에서 적극적인 노력을 해왔다고 치켜세우며 앞으로도 그런 노력을 해 줄 거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우회적으로 중국을 압박한 셈이다.

유엔 차원의 노력도 계속했다. 지난 7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세계개발재원 정상회의에 기후재원의 일부를 포함했고, 9월 열린 70차 유엔총회에서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라는 기후변화 대응을 전제로 한 유엔의 신규 목표 채택이라는 결과물을 이끌어 냈다.

당시 반 총장은 "가난을 끝내는 첫 세대, 지구온난화를 막는 마지막 세대가 되자"고 채택 직후 언급했다. 전세계의 목표 중심은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그의 의중이 표현된 문구다.

노력은 결실을 맺었다. 이번 파리 당사국총회는 구속력을 지닌 파리 결정문이란 결과물을 내놨다. 임기를 1년 남긴 반 총장의 임기 중 최대의 성과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라는 게 외교가의 평가다.

최 대사는 "7월과 9월에 채택된 것들도 이번 파리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문을 이끌어내지 못했으면 빛바랐을 것"이라며 "연결고리가 다 끼워졌다. 반 총장이 없었더라면 성사되지 못했을 일"이라고 극찬했다.

한편 파리 합의문에 따른 2020년 이후의 '신기후체제'는 내년 4월 유엔에서 열릴 서명식을 시작으로 55개국 이상 국가 및 전세계 배출량의 55% 이상 국가들이라는 요건이 갖춰지면 발효하게 된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