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출처=pixabay

 

[환경TV뉴스]김택수 기자 = 기후변화를 비롯한 물부족, 유해화학물질, 생물다양성, 자원순환 등 산적한 국내 환경문제의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방향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30일 열린 2015 한국환경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는, 18세기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 대도시 쏠림 현상이 도시 기후변화에 미친 영향에 주목한 논문들이 대거 발표됐다.

IPCC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의 기온상승은 지구온난화에 의한 것보다 0.1~0.2℃ 커, 도시에서 느끼는 기후변화현상은 농촌지역보다 더 크다. 다시말해, 도시 기후는 전 지구적 기후변화 영향뿐만 아니라, 도시만의 독특한 기후현상까지 이중으로 겪는 셈이다.

이에따라 열섬효과(Urban Heat Island Effect)등 도시 고온화 현상이 도시민 삶의 질을 위협한다는 부분을 우려해, 도시 공간구조를 고밀·복합 형태로 개발해야 기후변화 시대에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소개됐다.

조희선 경남대 교수는 "도시의 압축도, 즉 인구밀도가 높고 주거지역 면적이 감소할수록 도시기온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며 "15년간 24개 중소도시 대상으로 기온을 분석한 결과, 1000㎢당 1명이 연평균 기온이 0.04℃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안도시보다 내륙도시에서 더 뚜렷이 관찰됐다. 도시기온은 인공적으로 배출되는 열과 지표면 열복사나 흡수, 대기오염으로 인한 먼지돔 현상으로 고온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조 교수는 "도시 확장이 아닌 압축도시가 향후 신도시 등 도시계획 반영된다면 도시 기온 저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도시계획 단계에서 '토지이용계획 수립'이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중요한 대안이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수영 인하대 연구원은 "토지이용계획은 환경과 재해를 고려한 도시조성에 기본이 되는 요소"라며 "무분별한 도시개발, 특히 산지와 농지 등이 도시용지로 변화는 토지이용전환은 기후변화의 주요요인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즉, 빗물의 토양흡수가 가능한 산지·농지 등의 투수성 면적이 아스팔트가 깔린 도로 등의 불투수성 면적으로 변화되면서 집중호우, 폭염 등 기후변화를 유발할 수 있어 주거·공업·녹지 등 용도에 맞는 토지이용계획 및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형태, 피해규모, 발생 지역 등을 줄이고 사전적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얻는 혜택인 '생태계 서비스'를 연구한 충북대학교 도시공학연구팀은 "2001년과 2013년 사이 우리나라 초지와 습지 면적은 증가한 반면 산림과 경작지 면적은 감소해 10여년 전과 생태계 서비스 혜택은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geenie49@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