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쓰레기, 아이 눈높이 맞춰 설명하기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알려진 ‘생분해성 수지’ 제품이 실제로 친환경적으로 처리되지 못한다는 논란이 계속 제기되자 생분해성 제품이 1회용품으로 사용되면 친환경 인증에서 제외될 예정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생분해 1회용품도 ‘1회용품 규제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며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플라스틱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아도 미세플라스틱이 강이나 바다로 흘러갈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여러분은 이제 플라스틱이 뭔지 알죠? 생수가 담긴 투명한 물통, 장난감이 담겨있는 상자, 그리고 칫솔 손잡이나 물컵도 플라스틱이에요. 우리가 사는 집에도 플라스틱이 아주 많아요. 가족들이랑 같이 지금 여러분 집에 플라스틱이 뭐가 있는지 한 번 찾아보세요.

그런데 플라스틱이라고 꼭 딱딱한 것만 있는 건 아니에요. 한번 쓰고 무조건 다 버리는 것도 아니고요. 왜냐하면 플라스틱은 종류가 정말 많고 그걸 가지고 아주 많은 물건을 만들 수 있거든요. 우리가 입고 있는 옷도 플라스틱이 들어있고 우주선에도 플라스틱이 있어요.

플라스틱 제대로 버리는 방법도 알고 있나요? 다른 쓰레기와 같이 버리지 말고 플라스틱만 따로 모아서 버려야 해요. 그걸 분리수거나 분리배출이라고 부르는데 아마 여러분 집에서도 플라스틱을 잘 모아서 버리고 있겠죠. 플라스틱은 어디에 모으나요? 다음에는 여러분도 직접 분리수거를 해보세요. 플라스틱은 플라스틱끼리, 비닐은 비닐끼리 모으면 되니까요.

만약에 플라스틱을 제대로 모아서 버리지 않고 아무데나 함부로 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그러면 플라스틱 조각들이 여기저기 쌓여 더러워져요. 비바람에 쓸리고 물에 떠내려가면서 작은 조각으로 부서지겠죠. 그러면 동물들이 그 조각을 먹이인 줄 알고 집어먹다가 다칠 수도 있어요.

이렇게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미세플라스틱이라고 불러요. 미세는 아주 작다는 뜻인데 이런 조각들은 너무 작아서 눈에 보이지도 않아요. 이런 조각들이 강이나 바다로 흘러가면 물고기들이 그걸 먹을 수도 있고요. 그 물고기가 어부들에게 잡혀 식탁으로 오면 우리도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먹을 수 있죠.

그런데 우리가 플라스틱을 아무렇게나 함부로 버리지 않아도 저런 일이 생길 수 있어요. 왜냐하면 우리가 입는 옷에도 플라스틱 성분이 있어서 옷을 빨면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 떠내려갈 수 있거든요. 그래서 플라스틱을 함부로 버리지 않았더라도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강이나 바다가 오염될 수 있는거죠.

그렇다고 옷을 안 입거나 빨래를 안 할 수는 없잖아요. 지금처럼 옷 똑같이 입고 또 깨끗하게 빨아서 입으세요 괜찮아요. 플라스틱 때무에 옷을 안 입을 수는 없어요. 그 대신 평소에 플라스틱이나 쓰레기를 절대로 아무데나 버리지 마세요. 어쩔 수 없이 버려지는 것들은 그대로 두더라도 안 버릴 수 있는데도 일부러 버리는 건 줄여야죠

오늘부터는 쓰레기를 제대로 잘 모아서 버리세요.

환경이 중요하다고 다들 생각은 하는데, 실천하려면 어렵다는 사람이 많습니다. 중요한 가치라고 인식은 하지만 구체적으로 ‘왜 그런지’ ‘이 행동이 어떤 영향이 있는지’ 설명하려면 어렵기도 하죠.

여러분의 아이가 환경 문제에 대해 물어보면 어떻게 대답하십니까? 그저 “쓰레기 아무데나 버리는 건 나빠”라고만 얘기 하시나요? 그러지 말고, 아이에게 기후 변화와 환경 이슈에 관한 뉴스를 읽어주세요. 그린포스트가 매주 토요일 아침에 시간 맞춰 업로드 해드립니다. 그대로 읽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95회차는 우리도 모르게 버려(?)지는 미세플라스틱입니다 [편집자 주]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