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공급망 ESG에 대한 인식 및 협력현황 조사' 결과 발표
대·중소기업 193개사 중 78.8% 'ESG 공급망 협력 중요하다'
ESG 공급망 협력 요구 경험있는 기업은 18.1%... 지원책 마련 필요해

[그린포스트코리아 임호동 기자] ESG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국내기업들이 개별기업 차원을 넘어 납품·협력업체까지 포함한 ‘공급망 ESG’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지난 10월 14일 국내 대·중소기업 193개사를 대상으로 ‘공급망 ESG’에 대한 인식 및 협력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공급망 ESG 협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78.8%로 나타났다. 반면, 공급망 ESG 협력을 요구받은 기업은 18.1%에 그쳐 인식에 비해 실천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ESG는 한 기업의 개별적인 ESG 경영 평가를 넘어 기업의 납품·협력업체까지 포함해 산업안전․보건, 준법․투명경영, 친환경 생산공정, 인권․노동 등 ESG 가치를 요구하고, 위반시 제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기업들도 이러한 공급망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가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8일까지 국내 대·중소기업 193개사를 대상으로 ‘공급망 ESG’에 대한 인식 및 협력현황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급망 ESG’ 협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은78.8%(매우 중요 27.5%, 비교적 중요 51.3%)로 나타났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들은 공급망 ESG 협력이 필요한 이유로 ‘제품·서비스 경쟁력 강화’(3.51점)와 ‘거래관계 유지 및 매출·이익 증대’(3.50점)를 많이 들었고, 이어서 ‘기업 브랜드 및 평판제고’(3.46점), ‘사업 리스크 예방 및 관리’(3.46점), ‘고객사 또는 투자자의 요구’(3.33점) 등의 순으로 지적했다.(1~4점 척도)

공급망 ESG 관련 분야별 중요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산업안전 및 보건’(3.63점) 및 ‘준법 및 투명경영’(3.61점)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했고, ‘친환경 생산공정’(3.49점), ‘인권 및 노동’(3.45점), ‘친환경 제품개발’(3.41점)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관계자에 따르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의견을 청취한 이유는 대기업도 많은 협력업체의 모기업일 수 있지만 글로벌 고객사를 대할 경우 대기업도 협력업체가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해서 이뤄졌다"며 "조사 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세부적인 내용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공급망 'ESG 협력이 중요하다'는 해드라인에는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 공급망 ESG, 관심 있지만 실천 어렵다

그러나 ‘공급망 ESG’ 협력에 대한 인식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천으로 이어지는 비율은 아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고객사·투자자로부터 공급망 ESG 관련 협력 요구를 받은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없다’는 응답이 81.9%인 반면 ‘있다’는 답변은 18.1%에 그쳤다.

다만, 공급망 ESG 협력 요구받은 경험이 있다는 기업이 느낀 ESG 협력요구 강도는 ‘강했다’가 37.1%, ‘보통’ 45.7%로 ‘약했다’(17.2%)는 응답보다 크게 높아 선도기업에서는 공급망을 포함해 ESG경영에 본격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응답기업들은 공급망 ESG의 경영활동에서의 부담 정도에 대해서는 ‘부담된다’ 41.5%, ‘보통’ 52.8%로 ‘부담되지 않는다’(3.6%)다 훨씬 많이 답해 공급망 ESG 협력에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ESG 협력을 경우 항목별 애로 정도와 관련해서는 ‘비용 부담’(2.99점)을 가장 높게 지적했고, 이어 ‘전문인력 부족’(2.94점), ‘ESG에 대한 인식 부족’(2.78점), ‘경영진의 관심 부족’(2.63점) 순으로 지적했다.

ESG경영 강화를 위해 모기업에 바라는 지원책을 물은 결과, 협력기업들은 ‘설비투자 지원’(28.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맞춤형 컨설팅’(21.9%), ‘ESG 교육’(15.2%), ‘가이드라인 및 평가모델 지원’(8.6%) 순으로 응답했다.

공급망 ESG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과제로는 ‘업종별 가이드라인 제공’(3.34점) 필요성을 가장 높게 들었고, 이어 ‘ESG 협력시 세제지원’(3.33점), ‘ESG 협력시 금융지원’(3.25점), ‘ESG 교육 및 컨설팅’(3.22점), ‘ESG 동향 정보제공’(3.18점), ‘ESG 우수협력사 인증 제공’(3.13점) 순으로 나타났다.

윤철민 대한상의 ESG경영팀장은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자신의 공급망에 속해 있는 협력업체들의 인권·환경·지배구조 실사를 진행하고 있는 등 기업들의 공급망 ESG 협력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되고 있다”면서 “공급망 ESG에 대한 국내기업들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해외에서는 공급망 ESG 의무화하기 위한 법안이 마련되고 있다. 201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공급망 투명성법’, 2015년 영국 ‘현대판 노예 방지법’ 등에 이어 EU에서는 ‘기업 공급망 실사제도’(due diligence)를 의무화 하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애플 역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RE100’ 실천을 협력사에게 요구하며 ‘공급망 ESG’를 도모하고 있다.

이재혁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EU 집행위원회가 공급망 실사에 대한 법률을 유럽의회에 제출했고 2024년부터 이 법안을 시행할 예정”이라며 ”EU에 사업장이 있는 기업뿐만 아니라 EU에 상품과 서비스를 수출하는 국내기업도 직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므로 관심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