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 및 환경단체, IPCC 보고서 관련 의견 밝혀
"즉각적이고 과감한 대응 시행해야"
"2050년 탄소중립 위해 탈석탄 시급, 재생에너지 전환 필수"

 
2040년 안에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기존 예측한 시점(2030~2052) 보다 10년 더 빨라진 것이다. 과학자들은 현재 온실가스 감축이 즉각적으로 시행되지 않으면 ‘2도’ 가까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지금 보다 더 과감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였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2040년 안에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기존 예측한 시점(2030~2052) 보다 10년 더 빨라진 것이다. 과학자들은 현재 온실가스 감축이 즉각적으로 시행되지 않으면 ‘2도’ 가까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지금 보다 더 과감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였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오현경 기자] 지구 평균온도가 2040년 안에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기존 예측한 시점(2030~2052) 보다 10년 더 빨라진 것이다. 과학자들은 현재 온실가스 감축이 즉각적으로 시행되지 않으면 ‘2도’ 가까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이를 두고 주요 환경단체들은 "지금보다 더 과감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9일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제6차 평가보고서(AR6) 제1실무그룹 보고서’를 발표했다. 제1실무그룹은 이번 보고서에서 기후 시스템 및 기후변화에 대한 물리과학적 연구결과를 담아냈다. 

보고서는 지구온난화가 점점 심화되고있다는 것을 드러냈다. IPCC는 “20년 안에 지구 평균온도가 산업화 이전 보다 ‘1.5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1.5도 온난화’는 전례없는 폭염, 가뭄, 홍수 등의 기상이변을 증가시킨다고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2011∼2020년)간의 지구 평균온도가 산업화 시기(1850-1900년) 이전 보다 1.09℃ 상승했다.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도 증가했다. 제5차 보고서(2013) 당시 391ppm이 2019년 기준 410ppm으로 상승한 것.

◇ 빨라진 1.5도 상승 시점, "과감하고 즉각적인 대응 시행해야"

보고서 발간 이후 국제기구 및 환경단체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유엔에 따르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IPCC 보고서가 인류를 위한 적색 경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까운 시일 내로 1.5도를 넘을 위험이 임박했다. 지금 우리는 단호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환경단체도 기후변화에 과감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환경단체들은 기후위기 대응 노력이 현재로서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탈석탄,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등을 더욱 가속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경단체의 목소리는 어땠을까.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 권우현 활동가는 “이번 IPCC 보고서는 현재 기후위기 대응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경고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환경단체인 그린피스 정상훈 기후위기 캠페이너는 “지구온도 1.5°C 상승 도달시점이 앞당겨졌다”며 “각국은 현재 기후변화가 심각한 상황임을 인지해야 한다. 특히 보고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 세계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같게 만들어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IPCC는 파리협약 목표 달성을 위해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2018)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제안했다. 파리기후변화협약(2015)은 지구온도 상승 폭을 1.5℃ 이내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강력하게 시행할 것을 강조했다. IPCC 제1실무그룹 판마오 자이 공동의장은 “기후를 안정화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강력하고 신속하게 지속적으로 줄여야한다”고 밝혔다.

◇ "2050년 탄소중립 위해 탈석탄 시급,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필수"

이에 환경단체는 국내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인 석탄발전의 높은 점유율을 꼬집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총 온실가스 배출량 중 에너지 산업의 비중이 40%에 달했다. 그 중 석탄 발전소 비율이 약 30%를 차지했다. 

앞서 정상훈 캠페이너는 “가장 시급하고 쉽게 바꿀 수 있는 부분이 석탄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석탄은 풍력, 태양열 등의 대체할 재생에너지 기술이 이미 존재한다. 기술 개발 비용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기술을 어떻게 상용화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국가와 기관들에서 2030년을 기점으로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있다”며 “우리가 석탄발전을 중단하지 않으면 석탄은 시장 환경 변화로 가치가 하락해 빚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탈석탄 및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가능성 있다는 의견이 있다. 앞서 권우현 활동가는 “2030년까지 탈석탄 및 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일 본보기가 있다”며 “독일은 우리나라처럼 석탄발전 비중이 40% 이상, 재생에너지 비율이 10%인 나라였다. 하지만 최근 10여년 만에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40% 이상으로 높였다”라고 설명했다. 독일의 에너지전환 전문 매체 클린에너지와이어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비율은 2015년 10.3%에서 2020년 42%로 증가했다.

그린피스 정상훈 캠페이너는 온실가스 감축에 선진국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지구 온도상승을 막는 것은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며 “다만  미국, 영국 등의 선진국들의 감축 목표를 올려야한다. 이들은 개발도상국보다 오랫동안 온실가스를 배출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선진국들이 감축 기준을 겨우 맞추거나 더 낮게 목표를 잡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은 탄소중립 실천이 어렵다”며 “중국처럼 탄소중립 실천이 표준보다 10년 더 늦거나 실천하지 않는 국가들이 많다. 선진국들이 이들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 더 과감하게 온실가스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hkoh@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