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해진 폭염, 취약계층 피해 커져
노인, 실외노동자, 저소득층 등 상대적으로 취약

환경을 둘러싼 많은 이슈와 여러 논란, 그리고 다양한 주장이 있습니다. 여러 갈래의 의견을 종합하면 대개 한 문장으로 정리됩니다. ‘자연을 보호하고 자원을 낭비하지 말자’는 목소리입니다. 그렇게 하려면 우리는 무엇을 줄이고 뭘 더해야 할까요.

인류의 행동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의 지난 활동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시도가 이미 많았습니다. 여러 환경단체에서, 다양한 정부 부처가, 그리고 입법 활동과 정책을 주관하는 많은 기관이 환경 관련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그들이 보고서나 회의록 또는 토론 자료를 통해 공개한 환경 관련 이슈와 통계,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자세하게 소개합니다. 다섯 번째 보고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기후변화리스크연구단이 지난해 7월 발간한 <2020 폭염영향 보고서> 입니다. 이 보고서는 2회차로 나누어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기후변화로 폭염이 심해지고 있다. 더워진 날씨는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취약계층에게 특히 더 위험하게 작용한다. 취약계층별 폭염 피해가 다양하다. 폭염 피해 저감을 위해 연령, 직업, 소득 수준 등의 요인별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기된다.(픽사베이 제공)/그리포스트코리아
기후변화로 폭염이 심해지고 있다. 더워진 날씨는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취약계층에게 특히 더 위험하게 작용한다. 취약계층별 폭염 피해가 다양하다. 폭염 피해 저감을 위해 연령, 직업, 소득 수준 등의 요인별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기된다.(픽사베이 제공)/그리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오현경 기자] 높은 온도는 사회ㆍ경제에 여러 영향을 미친다. 폭염으로 생기는 피해는 특히 취약계층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폭염 피해 저감을 위해 연령, 직업, 소득 수준 등의 요인별 분석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최근 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20일 기준 전국 폭염 위기경보 수준이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했다. 같은 날 행정안전부는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 현황(5.20~7.18)을 발표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올해 온열질환자가 436명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1.3배 증가한 수치다.

폭염은 일상생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기후변화리스크연구단은 지난해 7월 ‘2020 폭염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단은 보고서를 통해 “폭염은 사회 전 부문에 영향을 미치며 취약계층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폭염의 복합적 영향 대비 및 폭염 영향에 근거한 수요자 맞춤형 대응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사회 전 부문에 미치는 폭염의 영향을 분석했다. 이어 보고서는 폭염 대응을 위해 부문별 수요자 맞춤형 대책을 제시한다. 본지는 최근 폭염의 발생 현황과 폭염 피해 특성을 알아본다.

강력해진 폭염...취약계층이 더 위험해진다

국내 폭염 빈도 및 강도가 증가 추세다. 2018년은 역대 가장 높은 최고기온이 나온 해다. 폭염일수도 가장 많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폭염일수는 2016년 22.4일에 이어 2018년은 31.5일로 증가했다. 전국 62개 지역에서 측정한 기온(일 최고기온이 33℃이상인 날)기준이다. 이는 평년(1981~2010년) 10.1일 대비 3배 이상 더 많이 발생한 숫자다. 최고기온도 홍천(41℃) 등 5개 지역에서 지역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자도 많이 발생했다. 보고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인용해 여름철(6월~8월) 온열질환자 피해 현황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온열질환자는 4만 4094명이다. 지난해(2017년) 2만 7032명에서 2배 증가한 수치다.

온열질환자 취약계층은 주로 50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질병관리본부 자료를 이용해 온열질환자 비율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2017년 평균 온열질환자 비율 중 50대 이상이 절반 이상이다. 2018년, 2019년도 각각 62%, 56%를 차지했다. 

실외 노동자도 온열질환에 취약했다. 보고서는 질병관리본부 자료를 인용해 발생장소별 온열질환자 비율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야외작업장 온열질환자 발생율은 28.1%로 가장 많았다. 마찬가지로 2019년도 32.4%가 발생했다. 뒤이어 논과 밭(14.6%), 길가(10.8%) 등의 실외에서 온열질환자 발생이 나타났다.

고령자, 야외노동자, 저소득층...온열질환 발생 높아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상대적으로 고령자나 야외노동자,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집중된다. 

고령층은 온열질환 우려가 높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인용해 65세 기준 고령인구의 온열질환자 발생률(2011~2018)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만명당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연평균 온열질환 발생률은 9.8명으로 나타났다. 반면 65세 미만은 4.3명이다. 두 연령군은 매년(2011~2018) 2배 가량의 차이가 났다.

실외 작업 노동자도 실내 직업군보다 온열질환 발생률이 더 높다. 보고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인용해 야외노동자와 그 외 직업군 간의 온열질환자 발생률(2011~2018)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만명당 연평균 온열질환 발생률은 야외노동자가 15.1명, 그 외 직업군이 2.4명으로 나타났다. 폭염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야외노동 직업군은 전기·가스·수도사업(6.4명), 농림어업(5.4명), 광업(3.7명) 순이다. 반면 실내노동 직업군은 금융·보험업(2.3명), 기타 공공사회·개인서비스(2.2명) 등이 있다.

저소득층도 온열질환에 취약하다. 보고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인용해 소득에 따른 온열질환자 발생률(2013-2018)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계층별 만명당 연평균 온열질환 발생률은 저소득층 13.8명, 고소득층 4.8명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은 의료급여 수급자(기초생활보장수급자, 이재민, 국가유공자 등)이다. 고소득층은 국민건강보험료 상위 20%(5분위)를 의미한다). 가장 더웠던 2018년은 저소득층이 21.2명에, 고소득층이 7.4명으로 온열질환자 발생 차이를 보였다.

다음기사는 에너지, 수자원, 농·축·수산업, 등의 부문별 폭염 영향과 대응방안을 알아본다. 

hkoh@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