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ESG 평가기관과 상이한 평가기준
"기업, 투자자, 소비자 부담 증가" 주장도
국내외 ESG 평가 기준 마련 착수

ESG 평가기관이 늘어나면서 ESG 평가기관마다 다른 평가기준과 공시 방안은 ESG 평가에 혼란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이한 평가와 공시방법은 ESG 신뢰성을 낮추고 있어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ESG 평가기관이 늘어나면서 ESG 평가기관마다 다른 평가기준과 공시 방안은 ESG 평가에 혼란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이한 평가와 공시방법은 ESG 신뢰성을 낮추고 있어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임호동 기자]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련 정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평가기관마다 상이한 평가와 기준제정기구별 보고기준은 기업과 투자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러한 혼란이 ESG 경영 활성화의 발목을 잡는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국내외에서는 ESG 평가·연구기관이나 경재계에서는 ESG에 대한 정보의 신뢰성과 가치제고를 위해 ESG 평가와 공시 방안 개선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해외에서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ESG 경영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보고기준을 준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형 ESG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 있다.

◇ 기관마다 다른 ESG 평가와 공시, ESG 신뢰를 낮춘다

현재 ESG 평가 기준은 국가별, 기관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해외에서는 MSCI의 ESG Leders 지수, DJSI의 S&P ESG 지수, FTSE Russell의 FTSE4Good 지수 등이 있으며, 국내에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서스틴베스트, 대신경제연구소 등이 기업의 ESG 경영을 평가하고 있는데, 각 기관마다 평가기준과 공시방식 등이 다 다르다.

이러한 각기 다른 ESG 평가와 ESG 보고서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6월 17일 'ESG 정보 유용성 제고를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기준제정기구별 보고기준이 상이해 기업의 정보생산 부담은 가중되는 반면 정보의 비교가능성ㆍ신뢰성은 낮아, ESG 기업공시를 어떻게 개선할지를 중심으로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ESG 경영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고 금융당국에 따라 공시체계가 구성됐지만, ESG의 공시의무를 강화하고 발전시킬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가 미흡하다는 분석이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현재 ESG와 관련한 일관된 보고기준이 확립돼 있지 않고 기업별로도 ESG 공시수준이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기관마다 상이한 ESG 평가와 기업간의 ESG 경영의 편차는 ESG 정보의 신뢰성 부족과 ESG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에 이상호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투자판단에 필요한 중요 ESG 정보는 사업보고서 상 ‘사업의 내용’ 혹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에 공시를 의무화해 ESG 정보의 비대칭적 상황을 적극 해소할 필요가 있다”며, “상세정보에 대한 공시는 자율공시의 영역으로 두어 기업이 자발적으로 시장의 신뢰를 구축할 유인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연구위원은 “공시정보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이에 대한 인증절차 역시 도입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4월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발표한 '국내외 ESG 평가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외 주요 ESG 평가기관간 평가등급 격차가 총 7단계 중 최대 5단계까지 벌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이처럼 차이가 벌어지는 이유를 기관마다 평가 결과가 상이한 이유를 평가항목・기준 등이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ESG 평가 기관 마다 분야별 평가 카테고리를 보면 체계, 내용 등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환경(E)평가만 봐도 평가기관 마다 체계 자체가 다르다. MSCI의 평가 카테고리는 '기후변화, 천연자원, 오염・폐기물, 환경적 기회'이며, KCGS는 '환경전략, 환경조직, 환경경영, 환경성과, 이해관계자 대응'으로 구성돼 있다.

전경련은 관계자는 "ESG 평가는 가점과 감점(부정적 이슈 발생) 방식을 적용하는 틀은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점수 산정, 가중치 부여 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보고서를 통해 "각 기관이 ESG 평가결과를 제공하거나 활용하는 곳 등에 차이가 있는 만큼 각 기업이 왜 ESG를 추구하는지, 투자 유치인지, 연기금 대응인지 등 구체적인 방향을 정해 벤치마크지표를 정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ESG 평가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해외에서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국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ESG 관련 평가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ESG 평가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해외에서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국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ESG 관련 평가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 ESG 평가 혼란 줄이기에 나선 IASB, 산업통상자원부

ESG 평가가 기업의 주요 평가 대상으로 대두되면서 국내외 600여개의 평가지표가 운용되고 있으며, 평가기관이 난립하고 있어 평가대상인 업계에서는 지속적인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난입되고 있는 ESG 평가를 개선하고 공신력 있는 ESG 평가를 구축하기 위한 움직임이 국내외에서 이어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곳은 국제회계기준(IFRS)을 제정한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다. IASB는 11월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SSB)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IASB는 SSB를 통해 자본시장 내에서 기업을 판단할 수 있는 지속가능보고기준을 만들어 내년 상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다. IASB가 구상하고 있는 지속가능보고기준은 ESG를 기반으로 기업을 판단할 수 있는 국제 기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식 ESG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 있다.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의 ESG 평가부담 줄이는 지침 성격의 '한국식 ESG 지표 초안'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공개된 한국식 ESG 지표 초안은 상이한 ESG 평가에 대한 기업의 혼란을 줄이고, ESG 경영 확산을 위한 방안으로 공개됐다. 한국식 ESG 지표 초안은 공신력을 갖춘 국내외 주요 13개 지표를 분석해 도출한 핵심 공통문항을 중심을 기반으로 환경(E)·사회(S)·지배구조(G) 분야별 문항비중을 균형 있게 구성해 발표했다.

산업부는 4월에 발표한 ESG 지표 초안에 대한 의견수렴 및 보완작업을 통해 올 하반기 최종적인 ‘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산업부는 한국형 ESG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 관계부처·기업·평가기관·투자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과 국내외 평가기관의 평가항목을 분석해 우리나라에 맞는 ESG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산업부 관계자는 “업계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ESG 경영의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ESG 평가기관도 가이드라인을 지표나 참고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한국형 ESG 가이드라인을 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