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국내 금융시스템 주요 리스크 요인 및 발생 가능성' 조사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제기

 
국내 금융시스템 주요 리스크 요인 변동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금융시스템 주요 리스크 요인 변동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국내 금융시스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이 지적됐다. 작년 말 과반수가 넘게 꼽았던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는 축소됐지만,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최근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 및 발생 가능성'에 대해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 및 금융ㆍ경제 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총 82명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보고서에서는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2020년 12월)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며 "다만  중기 시계(1~3년)에서는 충격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매우높음, 높음)과 낮다는 응답(낮음, 매우 낮음) 비중은 모두 확대됐다"라고 설명했다. 

◇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글로벌 인플레이션·가계 부채 등 지적

조사대상자들은 대외요인과 대내요인의 구분없이 5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을 선택했다. 

대내요인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46%)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접종 지연 가능성(37%) △부동산시장 불확실성(29%)이었다. 대외요인은 △글로벌 인플레이션(37%) △글로벌 자산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34%) △미중갈등 심화(34%) 등이 지적됐다.

1순위 응답빈도수를 기준으로 봤을 때 응답자들이 선택한 1순위 리스크 요인은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16%) △글로벌 인플레이션(15%)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4%) 등의 순이었다. 

이 중 단기(1년 이내)로는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가능성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 중기(1~3년)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 서베이(2020년 12월)에서는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이 중기에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지만, 이번에는 단기에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다수로 나타났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글로벌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발생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 "전세계 코로나19 대응 지원조치 정상화, 완화적 정책기조 축소가능성에 대한 대비 필요"

지난 서베이(2020년 12월) 결과와는 달리 응답자의 50% 이상이 선택한 두드러진 리스크 요인은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등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새롭게 지적됐다.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을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한 비중은 지난 조사와 비슷한 수준(33% → 34%)이었다. △고용 및 가계 소득 부진(38% → 20%) △자영업자 업황 부진(32%  →20%)은 각각 9위를 차지해 여전히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지만, 응답 비중은 지난번에 비해 하락했다.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지난 서베이(2020.12월)와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며 "다만,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현 시점에서 시급한 과제로는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대응 지원조치 정상화 또는 완화적 정책기조 축소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라고 설명했다. 

조사대상자들은 코로나19 지원조치 및 유동성 공급이 단기적으로 금융안정에 기여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기업, 가계, 정부 등의 부채가 크게 증가한 만큼 중기적 시계에서 금융시스템내 잠재 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서는 "지원조치 종료 이후 기업, 가계의 신용위험이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미 연준 등의 통화정책 완화기조 축소 논의가 확대될 경우 높은 가계부채수준이 금융시스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견해 등을 제기했다.

업계 관계자는 "유동성이 실물경제로 흡수되지 못해 가계 부채가 늘어나고, 부동산시장 같은 자본시장으로 쏠려 자산버블이 나타나는 등 금융시장 가격과 실물경제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는 금융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훼손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이 제약되거나 금융안정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