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와 주방의 숙제, 무엇을 어떻게 조리할까
유통기한 잘 챙기는데...소비기한도 아시나요?
일주일치 식단 미리 짜고 계획 따라 식재료 구매

역사 이래로 인류는 늘 무언가를 더하기 위해 살아왔습니다. 과거보다 더 많은 자본, 나아진 기술, 늘어나는 사업영역에 이르기까지, 미지의 분야를 개척하고 예전에 없던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며 문명을 발전시켰습니다. 그 결과, 인류는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지구의 건강이 위협받기 시작했습니다. 인류가 무언가를 많이 사용하고 또 많이 버릴수록 지구에 꼭 필요한 자원과 요소들은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열대우림이 줄어들거나 빙하가 녹고 그 과정에서 생태계의 한 축을 이루던 동물과 식물들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더하기가 아니라 빼기에 주목해야 합니다. 적게 사용하고 덜 버려야 합니다. 에너지나 자원을 덜 쓰고 폐기물이나 쓰레기를 적게 버리는 것이 세상에서 가장 ‘환경적인’ 일입니다. 인류는 무엇을 줄여야 할까요. 줄여야 산다 열 세번째 시리즈는 인류의 식탁을 책임지는 냉장고입니다. 냉장고를 줄이자?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요? [편집자 주]

냉장고는 될수록 온도가 낮은 곳에 설치해야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사진=Pixabay)
음식물 쓰레기에 관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해답은 간단하다.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구입해 관리하고 적당한 양만 조리해야 한다. (픽사베이 제공,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냉장고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들이 있다. 365일 24시간 전기를 사용하는 문제나 커다란 가전제품이 버려지는 문제다. 하지만 그것보다 조금 더 인류와 밀접한 건 냉장고에 보관하고 있는 먹거리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다. 앞서 두 편의 기사에서 그 내용을 살펴본 바 있다.

냉장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조금 더 정확하게 말하면 냉장고 속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크게 세가지 지점에서 의미가 있다. 남은 음식과 사용되지 않은 식재료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환경적 문제,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버려지는 음식물의 효율성에 대한 경제적 문제, 수많은 인류가 여전히 배고픔에 시달리는데 한편에서는 많은 음식이 버려진다는 관점에서의 윤리적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인간은 몸집이 크고 지구의 포식자이며 머릿수도 많다. 그래서 많이 먹고 그 과정에서 많이 남기고 그걸 그냥 버린다. 먹는 것은 인류에게 꼭 필요한 생존 활동이지만 한편으로는 사람들에게 유희거리로 소비되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다보니 먹는 문화를 바꾸거나 식사의 양을 갑자기 줄이는 건 어렵다. 그러면 사람들은 음식물 쓰레기에 관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해답은 간단하다.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구입해 관리하고 적당한 양만 조리해야 한다.

◇ 냉장고와 주방의 숙제, 무엇을 어떻게 조리할까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조리해야 버려지는 식재료를 줄일 수 있을까. 이건 이 기사가 처음 제기하는 문제가 아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져 온 분야다.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셰프들을 중심으로 이른바 ‘제로웨이스트 레시피’가 유행했다. 버리는 식재료를 없애자는 의미로 커피찌꺼기로 접시를 만들거나, 먹어도 괜찮은 식기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시도들도 이미 이뤄졌다.

국내에도 알맹상점 등 제로웨이스트숍이 많이 생겼지만 독일에는 이미 오래 전 포장지 없는 슈퍼마켓이 문을 연 바 있다. 이후 독일에는 라테 만들고 남은 우유거품으로 리코타 치즈를 만드는 카페가 생기기도 했고, 덴마크 코펜하겐에는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한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이 유명세를 끌기도 했다. 버려지는 식재료를 없애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는 시도들이다.

독일 베를린 스타 셰프이자 파워 블로거 소피아 호프만은 지난 2019년 <제로 웨이스트 퀴헤(Zero Waste Kuche) : 쓰레기 없는 주방>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해 화제가 됐다. 저자 호프만은 언론 인터뷰에서 쓰레기 없는 주방을 위해 실천해야 할 3대 원칙이 “적게 사고, 잘 고르고, 끝까지 쓰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관련 경향들이 인기였던 적 있다. 뿌리와 잎 등을 모두 먹는 마크로비오틱이 화제였던 적이 있고 돼지고기 기름 한덩이까지 모두 남김없이 재료로 사용하는 제로 레시피가 서점가 등에서도 화제였다. 과거 마크로비오틱은 기네스팰트로와 마돈나 등 해외 유명 스타들의 건강관리법으로도 화제가 된 바 있다.

◇ 유통기한 잘 챙기는데...소비기한도 아시나요?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을 잘 살피는 것이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지난 9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인용해 밝힌 바에 따르면, 유통기한의 경과로 인해 버려지거나 반품되는 식품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연간 최대 1조 54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연구원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해당 자료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폐기하는 소비자는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유통기한이 지난 경우 폐기하는가’라는 질문에 약 57%가 그렇다고 답했다.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소비자 10%를 포함시켜 고려하면 10명 중 최대 6명에서 7명이 유통기한 표시를 확인한 후 식품을 폐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자료는 최승훈 연구원과 김삼희 연구실장이 작성해 ‘음식과 사람’에 기고한 것으로 연구원 홈페이지 ‘R&D리포트’에 소개돼있다.

하지만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바로 버릴 필요는 없다. 자료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일부 업계는 일부 식품별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소비 가능기간을 제시한 바 있다. 계란은 유통기한 45일에 소비기한(유통기한 경과 후)은 25일이 더 늘어나며, 냉동만두는 유통기한 9개월에 소비기한은 25일이 늘어난다는게 해당 자료의 설명이다.

자료는 “식품별로 보관 방법은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소비기한으로 변경해 표시될 경우 섭취할 수있는 기한이 적게는 25일에서 많게는 2년 6개월 이상으로 늘게 되며, 이에 따라 식품의 불필요한 폐기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다만, 전문가들은 식재료를 보관하는 적정한 온도와 올바른 방법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연합뉴스도 지난 11일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을 인용해 “소비기한으로 변경해 표시하면 식품의 불필요한 폐기가 줄어들지만 소비기한이 표시되는 제품의 적절한 보관 온도 유지가 중요하다”고 보도했다.

'냉장고 파먹기'는 식비를 아끼고 건강도 챙기는 레시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건 탄소배출 줄이고 기후위기를 막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장을 본 다음에는 바로 손질해 보관하되 냉동 재료는 1회분씩 소분하고 자투리 식재료는 따라 담아 투명용기에 보관하면 좋다. 뭐가 얼만큼 들었는지 빨리 확인할 수 있어서다. 냉장고에 쌓인 식재료의 전체적인 양을 줄여 식탁의 ‘회전율’을 높이는게 중요하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 일주일치 식단 미리 짜고 계획 따라 식재료 구매

물론 이 얘기를 유통기한 지난 음식을 마음껏 먹으라는 의미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소비자 입장에서 더 쉬운 실천은, 식재료를 구매할 때부터 필요한 만큼만 사서 효율적으로 조리하는 게 더 좋다. 본지 기사를 통해 이 내용을 몇 차례 소개한 바 있는데, 한번 더 언급하자.

라이프스타일 콘텐츠 스튜디오 ‘sik_kuu.(식구.)’ 조한별 대표는 냉장고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관심이 많다. 조 대표는 요리 전문 에디터 출신으로 푸드 관련 콘텐츠 제작사를 운영하면서 직업상 요리연구가와 푸드 스타일리스트, 셰프 등과 자주 협업한다. 그런데 조 대표는 평소 집에서 양문형 냉장고 대신 아닌 작은 사이즈 일반 냉장고를 쓴다.

그는 냉장고에 고춧가루와 쌀, 닭가슴살 약간만 보관하고 채소나 나물 등은 필요할 때마다 소량 구매한다. 중대형 슈퍼나 마트는 제품이 대부분 이미 포장돼 있어서 원하는 만큼만 구매할 수 있는 재래시장 등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조 대표는 “구매 패턴을 바꾸면 경제적으로도 이익이고 신선하게 먹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냉장고에 넣어 둔다고 신선함이 늘 유지되는 것도 아니고, 냉동 보관 후 해동 과정에서 재료 본연의 맛을 잃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요리가 끝나도 남은 재료를 버리는 게 아니다. 채소나 고기가 남으면 재료를 다져서 뭉쳐둔다. 이튿날 완자 등을 만들어 먹거나 반죽해놓은 것을 팬에 부쳐 냉동실에 넣어두고 필요할 때 꺼내 먹는다. 조 대표는 “이런 과정을 습관화하니 못 먹거나 썩어서 버리는 음식이 줄었다”고 말했다.

요리에 익숙한 소비자들은 일정한 기간을 잡아 꼼꼼하게 식단을 짜고, 식단에 맞춰 재료를 정량만 구매라고 조언한다. 장을 본 다음에는 바로 손질해 보관하되 냉동 재료는 1회분씩 소분하고 자투리 식재료는 따로 담아 투명용기에 보관하면 좋다. 뭐가 얼만큼 들었는지 빨리 확인할 수 있어서다. 냉장고에 쌓인 식재료의 전체적인 양을 줄여 식탁의 ‘회전율’을 높이는게 중요하다.

줄여야 산다 4편에서는 일반 소비자 가정이 아닌 기업이나 기관에서 식재료 효율화에 나선 사례와 식재료 관리 기술을 더한 요즘 냉장고의 기능 등을 소개한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