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매출액 총합 기준 상위 대형 유통업체 5곳 대상

우리나라는 재활용 강국으로 불리고 있지만 통계처럼 현실에서는 재활용률이 높지 않다는 한계를 안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분리배출에 적극 동참하고 있지만 수거 체계와 제품 출시 단계에서부터 안고 있는 한계로 ‘탈 플라스틱’을 위한 노력이 벽에 부딪치기 일쑤입니다. 

소비자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자원순환의 첫 걸음은 생산 단계에서 이뤄져야 합니다. 재활용 체계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것은 제품의 설계부터 포장재 선택까지 결정권을 갖고 있는 생산자입니다. 그렇기에 기업이 포장재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그린포스트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생산자책임재활용(EPR) 제도를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 EPR 제도란 생산자의 의무 범위를 생산자가 만든 제품과 포장재로 발생한 폐기물 재활용까지 확대한 것입니다. 기업에 일정량의 재활용 의무를 부여하고 의무 불이행 시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 이상을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2021년부터는 재활용 용이성 등급에 따라 EPR 분담금이 차등 적용 시행됩니다. EPR 제도가 무엇이며 각 기업이 생산자책임을 얼마나 잘 지키고 있는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대수 국민의힘 의원실과 함께 짚어봤습니다. 이번 회차에선 지난 2017년부터 3년간 기업별 연결기준 매출액 총합 기준 상위 대형 유통업체 5곳의 매출액 대비 EPR 분담금 비율을 살펴봤습니다. [편집자주]

2017년부터 최근 3년간 기업별 총 매출액 기준 상위 대형 유통업체 5곳에서 낸 EPR 분담금이 총 매출액 대비 평균 0.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2017년부터 최근 3년간 기업별 총 매출액 기준 상위 대형 유통업체 5곳에서 낸 EPR 분담금이 총 매출액 대비 평균 0.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곽은영 기자] 2017년부터 최근 3년간 기업별 총 매출액 기준 상위 대형 유통업체 5곳에서 낸 EPR 분담금이 총 매출액 대비 평균 0.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기준 지난 3년간 매출액 총합이 가장 높았던 대형 유통업체는 이마트로 총 매출액이 51조6269억원에 달했다. 다른 업체들과 2.5배 이상 차이가 나는 매출이다. 그러나 총 매출액 대비 분담금 비율은 0.02%에 불과했다. 3년간 영업이익 총합 역시 대형 유통사 가운데 유일하게 1조원이 넘었지만 총 영업이익 대비 EPR 분담금은 0.79%에 그쳤다. 

이어 매출액 총합이 높았던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총 매출액 대비 EPR 분담금 비율이 0.01%였으며 BGF리테일과 코스트코코리아는 EPR 분담금 비율이 각각 0.02%, 0.03%였다.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유통·판매 외에 PB상품을 통해 자체적으로 상품 및 포장재 생산을 하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 3년간 총 매출액 대비 EPR 분담금 비율.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대형 유통업체 3년간 총 매출액 대비 EPR 분담금 비율.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key@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