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기후행동, ’앵그리푸드‘ 캠페인으로 소비기한 표시제 도입 촉구
유통기한 대신 섭취 가능 기한 표기로 음식물 폐기물 감소 기대
음식 인증 사진과 메시지 SNS에 업로드해 참여

지구온난화에 대한 경고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지구는 뜨거워지고 있고 날씨는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먹고 마시는 물과 공기에도 미세플라스틱이 떠 다닌다는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먼 나라 이야기 같던 환경 문제들이 이미 생활 속 깊숙이 알게 모르게 들어와 버렸다는 이야기입니다. 

우리의 손길과 발길이 닿는 모든 곳에 쓰레기가 남습니다. 어쩐지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모두 폐허다”라는 시구가 생각나기도 합니다. 서글픈 느낌도 듭니다. 내 손 끝에서 시작되는 일이라면,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내가, 내 이웃이 함께 움직인다면 결과도 조금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생활 속에서 바로 시작할 수 있는 소소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일명 지구를 살리는 생활의 기술입니다. 매주 주말마다 한 가지씩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보를 가져가는 데는 1분이면 충분합니다. 실천하면서 보내는 시간은 오래 걸리겠지요. 1분 환경 정보의 의미는 거기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물 세 번째 시간은 ‘앵그리푸드 캠페인’입니다. [편집자주]

소비자기후행동은 유통기한이 먹을 수 있는 기한이라는 선입견을 해소하고 시민들과 함께 소비기한 표시제도 도입을 촉구하기 위해 ‘앵그리푸드’ 캠페인을 진행한다. 사진은 앵그리푸드 캠페인 키트 구성. (소비자기후행동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소비자기후행동은 유통기한이 먹을 수 있는 기한이라는 선입견을 해소하고 시민들과 함께 소비기한 표시제도 도입을 촉구하기 위해 ‘앵그리푸드’ 캠페인을 진행한다. 사진은 앵그리푸드 캠페인 키트 구성. (소비자기후행동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곽은영 기자] 1만4000여톤. 하루 평균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다. 이 중 약 70%는 가정이나 작은 음식점에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우리가 먹는 식재료는 땅에서 식탁까지 오는 모든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한다. 어렵게 소비자에게 도달하지만 이마저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사)소비자기후행동은 유통기한 표기만 소비기한으로 바꿔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말한다. 아직 먹을 수 있는 기한이 충분히 남았는데도 숫자로 찍힌 유통기한 때문에 식품을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 다르다는 것을 알지만 식품마다 일일이 먹을 수 있는 기한을 다 기억할 수도 없고 매번 검색을 하자니 번거롭다. 결국 제품에 찍힌 숫자를 보고 그냥 버리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소비자기후행동은 이에 ‘소비기한 표시제도’ 도입 촉구를 위한 SNS 참여형 캠페인을 펼친다. 일명 앵그리푸드 캠페인이다. 유통기한이 먹을 수 있는 기한이라는 선입견을 해소하고 시민들과 함께 소비기한 표시제도 도입을 촉구하자는 취지로 마련한 캠페인이다.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유통기한이 표시된 식품에 소비기한 관련 메시지를 적어서 인증 사진을 찍고 SNS에 올리면 된다. 가공식품 외에 식재료나 이를 활용해서 만든 음식 인증 사진으로도 참여 가능하다.

캠페인명이 ‘앵그리푸드’인 이유는 충분히 섭취 가능한 식품이 판매 중심 기한인 유통기한 경과를 이유로 폐기되는 현상에 대한 소비자 불만을 표시하기 위해서다. 아직 충분히 먹을 수 있는데 제품에 찍힌 숫자 때문에 버려지는 음식으로 화가 난다는 심리를 전하자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가공식품에 진열 가능한 기한을 의미하는 유통기한을 표시하고 있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유통기한을 식품 진열 기간이 아닌 식품을 폐기해야 하는 시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기후행동은 “2013년 식약처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56.4%가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오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보관방법이 제대로 유지될 경우 우유의 경우 유통기한 +50일, 치즈는 +70일, 식빵은 +20일 이상 소비 가능한 것으로 발표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지난 11월 보건복지위 소회 자리에서 나온 소비기한 표시제 도입 관련 의견이 ‘식품안전’을 이유로 계류된 사안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당시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할 경우 현행 유통기한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개선하고 혼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영국과 미국 등 소비기한을 표시하는 여러 나라와 조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국가경쟁력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논의와 함께 “폐기 시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고 환경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 게진됐으나 계류됐다는 것이다. 

이에 소비자기후행동은 지난 1월부터 소비기한 표시제 도입을 촉구하는 온라인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참여를 원하면 소비자기후행동 홈페이지를 통해 서명을 할 수 있다.

김은정 소비자기후행동 상임대표는 “한 해 우리나라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양은 하루 1만4314톤으로 전체 생활 쓰레기의 약 25%를 차지한다”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은 연간 8천억원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처리 및 부패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은 885만톤에 달한다”고 지적하며 소비기한 표시제가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음식 폐기물 감소와 직결되는 제도라는 점을 강조했다. 

key@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