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신한금융지주·KB금융지주 등 금융업과 SK계열사 '두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금융시장에 가져온 변화 중 하나는 ‘ESG투자문화’ 확산입니다.

‘ESG’란 비 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중심의 경영방침을 말합니다. 기업이 사회와 환경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지배구조는 투명한지를 비재무적인 틀로 따지는 평가입니다.

1982년 사회책임투자(SRI), 1990년대 지속가능투자(SI)의 최신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SRI는 사회에, SI는 사회와 환경 등의 지속 가능한 ‘생태계’ 유지에 집중했던 반면 ESG는 이 같은 환경·사회적 투자에 대한 메시지가 확장·강화된 개념입니다.

‘ESG투자’는 사회·환경적 가치가 불러올 경제적 효과에 자본과 시간을 들이는 것입니다. 투자를 통해 사회·환경적 책임을 이끌고 이윤을 창출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우리는 ‘환경·사회적 가치가 지닌 경제적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연재는 ESG 투자에 대해 독자의 눈높이에서 설명합니다. 아홉 번째는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경제를 만들어가는 ESG 리더 기업을 소개합니다.[편집자 주]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ESG리더 기업들이 윤곽을 드러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ESG리더 기업들이 윤곽을 드러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ESG투자에 앞장선 기업들이 투자 시장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와 같은 환경·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지속 가능한 미래에 투자하는 'ESG Leaders'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제가 재편되고 있기 때문이다.

'KRX ESG Leaders 150 지수'는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에서 ESG점수가 높은 150개 기업들로 구성된 ESG테마지수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하 구조원)의 평가에서 ESG통합점수가 높은 기업부터 편입된다. 지난 2015년 12월 21일 탄생했으며 2010년1월4일 점수부터 집계를 시작했다.

이 지수에 들어가려면 'ESG통합점수'를 기준으로 편입이 결정되는 만큼 부문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전 부문서 우수한 성과를 보여줘야 할 뿐 아니라 유동성과 영업매출액도 일정 수준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편입 심사기준은 △ESG통합점수 △유동성기준 △매출액 등이다. 심사기준일이 속한 연도의 지배구조원 평가에서 E·S·G 3요소 중 어느 한 요소의 순위가 25% 안에 들어야 하며, 동시에 E·S·G 통합점수도 상위 50% 안에 들어야 한다.

ESG 통합점수뿐만 아니라 유동성과 영업매출도 일정 규모 이상의 실적 지표를 보여줘야 한다. 심사기준일로부터 최근 3개월간 일평균 거래대금이 상위 90% 안에 포함돼야 하고, 최근 몇 년간의 영업매출액도 안정적 규모를 유지해야 한다. 도박·담배·주류산업 등의 매출이 20%를 넘어서도 안 된다.

이 조건을 모두 달성한 기업들 중 ESG통합점수가 높은 기업부터 차례대로 편입이 결정된다. ESG점수가 동일한 기업들의 경우 유동성과 매출액 등이 안정적인 기업부터 들어간다.

만일 편입된 기업이 150개사가 넘어갈 경우 ESG통합점수가 낮은 기업과 유동성시가총액이 작은 기업부터 퇴출된다. ESG통합점수를 유지하지 못해도 탈락한다. ESG 통합 등급이 B+ 미만이거나, ESG 통합점수가 지수 내 편입된 기업들의 평균치보다 낮을 경우다.

따라서 영업매출과, 유동성을 보유한 기업이 ESG 통합점수도 높게 유지한다는 것은 'ESG투자를 유지할 만큼의 안정적 기업'임을 증명하게 되는 셈이다.

ㅇ
KRX ESG Leaders 150 지수 상위 업계와 기업들(그래픽 최진모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이 지수의 시세는 24일 기준 1536원 전후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익률은 △1개월 4.88% △3개월 19.89% △1년 14.38%으로 안정적 추이를 기록 중이다. 위험률은 1년 31.23%, 3년 21.46%로 나타나 투자시 해당 기업의 ESG점수와 성과 지표를 확인해야 한다. 기업들의 개별 ESG 등급은 구조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조회 가능하다. 지수의 시가총액은 9억6492만8684원이다.

지수시가총액 기준 상위 10개사는 1위부터 △삼성화재 1.55% △신한지주 1.52% △ 1.50% △ KT 1.46% △SK이노베이션 1.42% △SK 1.42% △현대글로비스 1.40% △SK하이닉스 1.36% △ S-Oil 1.35% △LG생활건강 1.35% 순이다.

산업별로 상위 업계는 △금융업 19.81% △화학 17.59& △전기전자 10.72% △유통업 8.5% △ 운수장비 5.83%를 기록했다.

특히, 상위 10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4.34%로 'KRX Eco Leaders 100 지수' 보다 안정적 분포도를 보이고 있다. 특정 기업에만 편중돼 있지 않고 편입된 기업의 ESG성과점수가 균일한 축에 속한다는 얘기다.

상위 10위에 속한 기업들의 경우 이 지수뿐만 아니라 ESG관련 테마지수에서도 두각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SK그룹 계열사와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등은 친환경을 쫓는 Eco Leaders 지수, 저탄소 기업을 추종하는 탄소효율 그린뉴딜 지수 등에도 일제히 이름을 올렸다. 이를 통해 ESG모범생 기업임을 증명해냈다. SK그룹의 경우 계열사 포함 3개사가 이름을 올렸다.

ESG투자에 대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기관투자자들의 사회책임투자 확대, 그린본드 발행과 ESG관련 산업 증가, UN과 주요 기업들의 탄소제로 활동 등을 들어 2021년에도 투자시장의 대세를 유지할 것이라도 전망했다. 또 이런 기조를 반영해 기업들이 환경 관련 변화를 늘릴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기관투자자들이 직접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에 행동 변화를 요구하면서, 기업들의 환경과 관련된 기업 활동 변화가 예상된다"고 예측했다.

mylife1440@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