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단협 둘러싸고 노사와 대치, 여론전서 불리…“오는 21일 2차 조정회의서 대화 지속”

금융노조와 기업은행 노조가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기업은행 노조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금융노조와 기업은행 노조가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금융노조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윤종원 기업은행장이 일 년 내내 되풀이되는 ‘낙하산 인사’ 논란에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앞두고 노사 간 갈등이 격화되며 낙하산 인사 논란이 도마 위에 오른 까닭이다.
 
18일 기업은행노동조합(기업은행 노조)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은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종원 기업은행장을 규탄하고 임명권자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윤 행장은 올해 초 기업은행장으로 임명됐지만 취임과 동시에 낙하산 인사 논란에 시달리며 험로를 걸어왔다. 노조의 출근저지 투쟁에 막혀 27일 동안 출근을 저지당하는가 하면 지난 3월에는 주 52시간 근로제 위반을 이유로 노조로부터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고발당하기도 했다.

노사갈등 끝에 6대 공동선언을 채택하고 지난 1월말 기업은행장에 올라 일 년 동안 진두지휘했지만 임단협 안건으로 갈등이 격화되면서 어깨가 무거워졌다. ‘낙하산 인사 논란’ 이라는 약점이 잡힌 탓에 여론전에서 불리해진 탓이다.

특히 최근에는 노조가 임단협 안건 개선 여부를 둘러싸고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조정 신청을 하며 사측과 대립각을 세웠다.

노조는 임단협에서 임금 협상과 6대 선언 실천을 요구했다. 사측은 노사 간 이견이 없는 임금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나머지 정부 협의가 필요한 사항 등은 향후 노사 협의체를 구성해 지속적으로 논의하자는 답변을 내놨지만 감정의 골은 더 벌어졌다.

윤 행장이 취임 초 노사와 약속한 6대 공동선언은 △희망퇴직 문제 조기 해결 △정규직 전환 직원의 정원통합 △임금체계 개편시 노조와 협의 △임원 선임절차 투명성 및 공정성 확보 △노조 추천이사제 추진 △휴가 확대 협의 등이다. 

더불어 노조 측은 윤 행장과 임명권자인 문 대통령에 낙하산 인사에 따른 책임론을 물으며 물러서지 않았다. 

노조가 주장하는 윤 행장의 낙하산 인사 근거는 지난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금융노조와 체결했던 ‘대선승리를 위한 정책협약서’ 1조2항의 ‘금융권 낙하산 인사를 근절 및 전문 인사 임명을 위한 제도 보완’ 부문이다.  

문 대통령의 약속과 다르게 현재 금융공공기관 8곳 중 7곳이 비 전문가인 관직 출신의 ‘낙하산’ 수장이고 모피아 인사도 207명에 이르며, 일례중 하나가 윤종원 행장이라는 지적이다.

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은 “2017년 대선 국면에서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금융노조가 맺은 정책협약의 1조2항이 ‘낙하산 인사 근절’이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낡은 노사관으로 신뢰가 두터웠던 기업은행의 노사관계를 망가뜨렸다”고 토로했다.

사무금융노조 이재진 위원장 또한 “IBK 연금보험 지부가 모기업 수장인 윤종원 행장의 만행으로 독립 경영이 불가능한 상태”라며 “2017년 대선 약속과는 다르게 현재 금융권에 낙하산인사가 판을 치고 있고, 그것이 현장파괴와 노사관계 악화를 야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업은행 측도 억울하다. 공동선언문 내 이행한 부분도 많지만 아닌 부분만 이슈화 되는 탓에 난처하다는 입장이다. 노사는 전날 중노위를 통해 조정회의를 했고 오는 21일에 2차 조정회의를 통해 대화를 지속한다고 밝혔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1월 노사공동선언문 등은 이미 이행한 것도 많이 있고, 노사가 임금 부문이나 희망퇴직은 생각이 같다”면서 “다만, 노사 합의 외에 정부와 논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