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개발 로봇, 최근 방재 훈련서 실효성 입증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구축한 무인 방재 시스템에 활용되는 실내 모니터링 로봇 '티램'과 실외 모니터링 로봇 '램', 사고 대응 로봇 '암스트롱', 공중 방사선 모니터링 '드론'의 모습.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구축한 무인 방재 시스템에 활용되는 실내 모니터링 로봇 '티램'과 실외 모니터링 로봇 '램', 사고 대응 로봇 '암스트롱', 공중 방사선 모니터링 '드론'의 모습.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국내에서도 자체 개발 로봇으로 원자력 사고 대응하는 무인 방재시스템 구축됐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2015년부터 방재용 로봇 개발과 로봇 방재 시스템 구축에 꾸준히 노력한 결과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은 자체 개발한 원자력 로봇들로 원자력 사고에 대응하는 자체 무인 방재 시스템을 갖췄다고 7일 밝혔다.

원자력연에 따르면 실내 모니터링 로봇 ‘티램’(TRAM)과 실외 모니터링 로봇 ‘램’(RAM), 사고 대응 로봇 ‘암스트롱’(ARMstrong), 공중 방사선 모니터링 드론으로 구성된 로봇 방재 체계가 최근 실제 방재 훈련에 참여하며 실효성을 입증했다.

실내 모니터링 로봇인 티램은 방사선, 온도 탐지기를 탑재하고 계단과 장애물을 넘으며 이동한다. 본체 높이가 30㎝에 불과한 소형 장갑차 형태의 로봇이다. 사고 현장의 방사선량과 열화상 정보, 3차원 지도를 실시간으로 작성해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실외 모니터링 로봇 램은 상용 ATV를 원격 조종하는 방식이다. 넓은 발전소 부지 안에서 방사선 탐지 장비 등을 싣고 시속 60㎞ 속도로 고속 주행할 수 있다. 램에 공중 모니터링을 위한 드론을 조합해 지상과 공중 다각도에서 현장 관측과 방사선 오염지도 작성도 가능하다. 

사고 대응 로봇인 암스트롱은 유압시스템을 적용해 양팔로 총 200㎏ 하중의 물건을 자유롭게 움직이고 무한궤도로 험지 이동이 가능하다. 무거운 콘크리트나 폐기물 드럼을 취급하고 소화수를 분사하거나 잔해물 처리, 밸브 조작이 필요한 사고 현장에서 특히 유용하다. 사람 팔 모양의 ‘마스터 디바이스’를 움직이면 암스트롱의 팔도 함께 똑같이 움직이는 방식으로 고중량 파이프를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랜 커넥터를 꽂는 섬세한 작업까지 가능하다. 

원자력연은 방사선 비상대책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매년 2회 이상 다양한 시나리오의 방사능 방재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2016년부터 6차례에 걸쳐 실제 훈련에 로봇을 투입하며 실효성을 검증하고 로봇을 보완해왔다.

지난 8월과 10월 훈련에서는 티램 로봇이 건물 내부로 진입해 현장 상황을 상황실로 전송하고 암스트롱이 우레탄 폼을 분사해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건물의 출입구를 밀봉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특히, 암스트롱의 방사성 물질 밀봉 훈련은 해외에서도 시도해 본 적 없는 새로운 것으로 국내 기술의 우수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로봇 방재 시스템은 그간 수차례 훈련으로 기능이 안정화됐다. 이뿐 아니라 올해 훈련에서는 로봇 전용 영상통신 서버를 구축해 보안을 크게 강화했다. 무선통신으로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로봇의 특성상 사이버 보안은 특히 중요한 문제이다.

정경민 로봇응용연구부장은 “연구원 자체 로봇 방재시스템 구축은 1단계 시작에 불과하다”며 “지속적인 보완을 통해 만일의 사고에도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만반의 태세를 갖추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