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투기적 수준의 버블 단계까지 올라와, 내려가는 속도 고민할 때”

11일 금융연구원이 은행회관에서 ‘미 대선 이후 글로벌 경제의 리스크와 미중무역마찰’ 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박은경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11일 금융연구원이 은행회관에서 ‘미 대선 이후 글로벌 경제의 리스크와 미중무역마찰’ 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박은경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전문가들이 내년도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완화된다해도 경기침체는 지속된다고 내다봤다. 특히, 신흥국 경제위기와 국내 자산시장의 버블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됐다.

11일 전문가들은 금융연구원 주최의 ‘미 대선 이후 글로벌 경제의 리스크와 미중무역마찰’ 세미나 패널토론에서 이같이 내다봤다.

송두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에 (코로나19)회복 되도 경제불황은 지속될 것”이라면서 “코로나19가 회복 되면 이전으로 돌아간다는 건 너무 안일한 생각”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자산버블문제와 재정통화정책이 확장되고 있는데 이게 생산 분야에 들어가서 실물로 들어가기보단 대부분 부동산, 증시 등 자산시장으로 들어가고 있어 버블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투기적 수준의 버블 단계까지 올라온 단계로, 이제는 내려가는 강도나 속도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우리경제의 가장 큰 문제로 신흥국의 부채리스크가 지목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이후 국가들의 패턴을 보면 선진국은 국가부채가 민간부채, 가계부채, 기업부채 등이 주를 이뤘는데 민간부채나 가계부채는 GDP대비해 줄어들며 완만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신흥국 사정은 달랐다. 정부의 재정정책은 안정적 수치를 보이나 민간부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리스크가 크다.

송 연구소장은 “만약 지금의 유동성이 확장되면 리스크는 반드시 신흥국을 중심으로 늘어난다”면서 “내년도 신흥국 부채리스크는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 시장의 경우 개인사업자대출과 중소기업 여신 리스크가 문제로 지적됐다. 개인사업자대출이 400조가량 집행된 데다, 가계부채의 양적 성장과 질적 차이로 인해 채무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탓이다.

특히 2014년에 진행됐던 대기업 구조조정 당시 국내 금융기관들은 대기업 대출 줄이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여신을 많이 늘려왔다. 결과 2015년 대비 대기업 여신은 50% 줄고 중소기업대출은 200조원 늘어났다.

송 연구소장은 “중소기업대출은 과잉대출 리스크와 대출 편중 리스크에도 노출되어 있어 중소기업 리스크에대한 사전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상호 금융연구원장 또한 인사말에서 “만일 신흥국에서 위기가 증폭되면 세계 국가로 전염되는 결과 초래”한다면서 “국내경제의 리스크를 미리 준비하고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