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상상하며
술 줄이면 곡식과 물 사용, 쓰레기도 함께 준다

기업이나 정부가 아닌 일반 소비자가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친환경’ 노하우는 ‘쓰레기를 덜 버리는 것’입니다. 플라스틱이든, 음식물 쓰레기든, 아니면 사용하고 남은 무엇이든...기본적으로 덜 버리는게 가장 환경적입니다.

그린포스트코리아 편집국은 지난 2~3월 ‘미션 임파서블’에 도전했습니다.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주말 이틀을 살아보자는 도전이었습니다. 도전에 성공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습니다. 이틀 동안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게 말 그대로 ‘불가능한 미션’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환경을 포기할 순 없습니다. 하여, 두 번째 도전을 시작합니다. ‘제로웨이스트’입니다. 이틀 내내 쓰레기를 ‘제로’로 만들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천하기로 했습니다. 쓰레기를 배출하던 과거의 습관을 하나씩 바꿔보려 합니다. 평소의 습관이 모여 그 사람의 인생과 운명이 결정된다면, 작은 습관을 계속 바꾸면서 결국 인생과 운명도 바꿀 수 있을테니까요. 불편하고 귀찮은 일이지만 그래도 한번 해보겠습니다. 다섯 번째 도전입니다. 육식을 줄이고 술을 끊기로 했습니다. [편집자 주]

기자는 고기를 줄이고 술을 끊었다. 환경을 생각한 도전이다. 물론 '환경만을' 생각해서 술을 끊은 건 아니고 여러 이유가 있는데, 해보니 그럭저럭 괜찮은 느낌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기자는 고기를 줄이고 술을 끊었다. 환경을 생각한 도전이다. 물론 '환경만을' 생각해서 술을 끊은 건 아니고 여러 이유가 있는데, 해보니 그럭저럭 괜찮은 느낌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기자는 육식주의자다. 신나는 일이나 축하할 일 있으면 고기를 굽고,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가 쌓여도 상추쌈을 싼다. ‘소울푸드’는 제육볶음과 치킨이다. 지난 월급날 저녁에도 ‘파닭’을 시켜 먹었다. 아마도, 기자는 평생 고기를 끊을 수 없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식을 줄여보기로 결심한 건 지난 초여름 읽은 기사 때문이었다. ‘닭의 자연 수명은 대개 10년 정도 되는데, 삼계탕이나 치킨 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태어난지 한달 남짓한 닭들을 도축한다’는 내용이었다. 비좁은 닭장에서 태어나 주어진 생명의 100분 1도 채 살지 못한 채 목숨을 잃는 닭의 삶에 대해 생각해봤다. 기자의 인생과 닭의 인생을 저울에 달아보면 그 무게는 과연 같을까 아니면 다를까.

채식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대개 4가지 동기가 있다. 다이어트나 건강 유지 같은 실용적인 동기, 동물권이나 다른 종에 대한 차별 등에 관심 두는 윤리적인 동기, 그리고 축산업이 기후변화의 원인이라고 보는 하나라는 환경적인 동기, 마지막으로는 종교적인 이유다. 기자는 채식만이 식탁의 유일한 ‘정답’이라고는 전혀 믿지 않는다. 하지만 윤리적인 동기와 환경적인 이유 등에 대해서는 일부 공감 가는 부분도 있다.

◇ 공장식 축산과 대규모 육류소비의 환경 영향

한국채식연합 대표 이원복씨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동물복지로 길러지는 비율은 5% 정도고 나머지 95%는 이른바 ‘공장식 축산’ 환경에서 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동물이 하나의 생물이 아니라 고기나 소세지의 원료, 알 낳는 물건처럼 취급받는 현실”에 대해 지적했다. 자연수명에 비하면 너무 짧게 산다는 의미다.

이원복 대표는 공장식 축산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면서 “고기를 지금보다 더 싸게 먹으려는 인간의 욕심 또는 자본의 욕심이 우리와 같은 동물을 공장으로 내몰았고 그 결과가 사회적인 비용이 되어서 다시 인간에게 전가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1960년대와 비교하면 고기 섭취가 10배 이상 늘었다”면서 “고기를 먹지 말자는 게 아니라 좀 줄이자는 얘기를 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 주장에 일부 공감한 기자도 작은 결심을 했다 육식을 줄여보기로 했다. 막연히 줄이는 건 애매하므로 일주일에 두끼만 비건식으로 먹어보기로 했다. 고기와 생선, 달걀과 유제품 등을 모두 안 먹는 형태다.

'메뉴를 고르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상상하고 평일 말고 집밥 위주로 먹는 일요일 아침과 점심을 비건식으로 먹어보기로 했다. 하지만 채소 위주로만 반찬을 차려 먹으려니 먹는 재미가 아무래도 덜해서 외식에도 도전해봤다.

언리미트와 샐러디가 함께 출시한 식물성고기 샐러드, 오뚜기가 동물성 재료를 쓰지 않고 만든 그린가든 (냉동식품) 채소만두, 콩·버섯·호박 등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만든 식물성 대체육 비욘드미트를 먹어봤다. 편의점 CU에서도 채식간편식을 팔았다. 식감은 재현했으나 맛과 향이 고기와 똑같이 느껴지지는 않았다. 대신 ‘가짜고기는 맛이 없을 것’이라는 편견을 깨트릴 정도로는 충분했다.

일주일에 두끼 정도로 피부로 느낄 만큼 몸에 변화가 생기지는 않았다. 살이 좀 빠졌으나 이건 고기 문제가 아니라 아래 설명할 술의 영향이 더 큰 것 같다. 대신 육식을 조금이나마 줄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았다.

1Kg의 소고기를 얻기 위해서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사료를 포함한 식물이 필요하다.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방목지로 쓰거나 사료로 쓰일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열대우림을 없애면서 온실가스나 기후변화에 영향도 미친다. 동물들이 내뿜는 메탄가스가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지적도 있다. 해외 단체 월드워치연구소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절반이 축산업과 육류산업에서 발생한다는 주장도 내놓은 바 있다.

채식주의자의 종류도 다양하다. (그래픽 황인솔 기자) 2018.11.22/그린포스트코리아
'채식'은 여러가지 식습관을 뭉뜽그린 단어다. 채식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세상의 많은 채식주의자들이 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는 뭘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개인의 윤리적인 기준이나 환경적인 기준에 따른 결정인 경우도 많다.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 삶에서 술을 빼보니...곡식과 물, 쓰레기도 함께 줄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습관과 선호도상 육식을 많이 줄이기 어려운 기자는 또 하나의 대안을 생각해봤다. 술을 끊는거다. 실제로 기자는 지난 5월부터 지금까지 술을 안 마신다. 줄인 게 아니라 끊었다. 물론 애주가라면 고기를 줄이는 것 보다 술을 끊는 게 더 어려울 수 있겠지만 기자에겐 그게 더 쉬웠다.

기자도 애주가였다. 술이 많으면 들고는 못 가도 먹고는 갔다. 5차까지 달려본 적도 있고, ‘소주 한잔 하자’는 말이 친구에게 건네는 가장 깊은 인사인 적도 있다. 저녁에 마시는 캔맥주는 지친 하루의 힐링이었다. 튀긴 음식에는 자연스레 맥주를, 볶거나 끓인 음식에는 대부분 소주를 곁들였다. 하지만 식습관을 환경적으로 바꾸기 위해 식탁위의 혁명이 필요하다면, 기자에게는 채식보다는 금주가 더 쉬웠다.

술을 줄이는 게 환경과 무슨 영향이 있는가 싶겠지만, 술 역시 농업, 그리고 기후변화와 깊은 연관이 있다. 술을 줄이면 곡식과 물 사용이 줄고 쓰레기도 줄일 수 있다. 물론 술을 끊은 게 오직 환경적인 이유 때문만은 아니다. 건강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겸사겸사 고려한 결정이었다. 대상포진과 요로결석이 겹친데다 간이 튼튼하지 않다는 진단을 받은 것도 큰 영향을 미쳤고, 코로나19 확산세가 여전한데 가족 아닌 지인들과 술집에서 잔을 부딪히는 건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러면 환경은 핑계 아니냐고? 그렇지는 않다. 음주도 육식처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  

지난 2018년, 월스트리트저널과 가디언 등은 농업 전문가와 기후 경제학자들로 구성된 국제 연구팀의연구 결과를 인용해 “기후변화에 따라 앞으로 전 세계 보리 수확량이 감소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나라가 벨기에와 체코, 아일랜드 등이라고 전망했다. 모두 맥주의 주요 생산국이다.

당시 연구진은 국제사회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실패할 경우 맥주 주요 생산국인 아일랜드, 벨기에, 체코의 맥주 소비량이 3분의 1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기후변화를 막지 못하면 폴란드의 맥주 가격이 무려 5배 뛰고 아일랜드와 벨기에, 체코에서는 현재 가격의 2배로 오를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 당시 이 내용은 연합뉴스 등을 포함한 국내 언론에도 보도된 바 있다.

술은 곡식으로 빚지만 물로도 만든다. 맥주를 예로 들면 90% 이상이 물로 이뤄진다. 술을 마시기 위해서는 좋은 물을 계속 공급해야 한다. 지구는 대부분 바다로 덮여있지만 인류가 마실 수 있는 물이 한정되어 있다는 건 상식이다. OB맥주가 환경재단과 함께 연중 물 캠페인을 펼치고 물 부족 국가를 위해 기부하는 활동 등에 나서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사막화 예방을 위해 숲 조성 사업에도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다만, 기자는 OB맥주의 착한 행보에 소비 대신 금주로 마음을 보탤 뿐이다.

기자의 집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생각해도 양이 줄었다. 한달에 세번 정도 마셨던 ‘4캔 만원’ 맥주를 끊음으로서 캔 배출이 일주일에 3~4개 줄었고, 얼큰한 국물을 마실 때 한번씩 곁들이던 소주를 끊음으로서 버려지는 병도 줄였다. 야식과 혼술을 곁들이느라 소비량을 늘렸던 가정간편식이나 편의점 식품 등을 줄임으로서 먹거리 관련 포장쓰레기도 체감 20~30% 정도 줄였다.

다른 이들에게 육식이나 금주를 강요할 생각은 전혀 없다. 법과 규범에 어긋나지 않는 한, ‘하고 싶은 일’을 결정하는 건 오직 자신의 기준으로 결정하는 게 옳다. 다만, 기자는 식탁이 환경에 미칠 영향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개인적인 결심에 의해 고기를 계속 줄이고 술을 평생 끊을 생각이다. 혼자만의 식탁형명이자, 제로웨이스트 도전을 위한 지극히 개인적인 과제다. 동참은, 자유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