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산업부·발전사·시멘트사 참여...약 38만톤 감축
2022년 이후 석탄재 ‘수입하지 않기(제로화)’ 목표

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 (사진 쌍용양회)/그린포스트코리아
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 (사진 쌍용양회)/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환경부는 수입 석탄재 저감을 위한 민관 협의체 운영을 통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석탄재 수입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54%(약 38만톤) 감소했다고 26일 밝혔다.

환경부는 석탄재 수입 저감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 발전사(중부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서부발전, 남동발전) 및 수입 시멘트사(쌍용, 삼표, 한라, 한일 시멘트)가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운영해 석탄재 수입 감축을 독려하고 국내 석탄재 등의 활용 확대를 위해 발전사-시멘트사간 계약체결 등을 지원해 왔다. 

환경부는 “올해는 발전사와 수입 시멘트사간 약 70만톤 규모 추가 공급계약(2018년 대비)을 체결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며 “향후 국내 석탄재 수입 대체율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27일 한국남부발전㈜과 ㈜에스피네이처간 주주협약이 체결돼 연간 약 34만톤 국내 석탄재를 시멘트사 등에 공급하는 전문법인 ㈜코스처가 출범한다. 코스처는 남부발전에서 발생한 석탄재를 동해안 시멘트사(삼표시멘트)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2018년 전체 석탄재 수입량 127만톤의 16%에 해당하는 연간 약 20만톤 내외 수입석탄재 대체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2022년 이후 석탄재 ’수입하지 않기(제로화)’를 목표로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석탄재 수입 감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지난해 민관 협의체에 참여한 발전사와 시멘트사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석탄재 수입량이 크게 감소했다”며 “국내 석탄재 활용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석탄재를 원료로 사용하는 시멘트 안전성 관리, 특히 수입 석탄재 방사능 및 중금속 기준 초과 사례 발생 여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환경부는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석탄재 중금속 함량(납, 카드뮴, 비소 등)을 재활용 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완제품인 시멘트에 대해서도 EU, 일본 등 선진국과 같이 6가크롬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며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모든 수입 석탄재에 대해 통관 전 방사선·방사능 및 중금속 전수조사를 실시해 총 110건을 검사한 결과 기준 초과사례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