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유역환경청·수자원공사, 수도권 지방상수도 기술지원 본격추진
인력·전문성 부족 수도사업자에 전문기술 제공...수도서비스 향상
한강유역환경청 “한강유역수도지원센터 출범 이후 기술이전 첫걸음”

서울시 문래동 신설관 부설 모습. (사진 서울시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서울시 문래동 신설관 부설 모습. (사진 서울시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지난해 5월 인천, 6월 서울 문래동 등에서는 붉은 수돗물이 잇따라 나와 60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불편을 겪은 바 있다. 인력·기술력 또는 노하우가 부족했던 일부 지자체에서도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이뤄지지 않는 모습이 지속적으로 노출됐다.

올해는 인력·전문성이 부족했던 지자체가 전문 기술지원을 통해 수도역량을 키울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환경부는 지난 1월 22일 수도시설 관리 전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자체 수도사고 대응 및 기술지원 전문기관인 ‘유역수도지원센터(이하 센터)’를 한강 등 4대강 유역에 설립했다.  

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 내 수도 관련 전문가로 구성돼 수도사고 발생시 환경청 지휘 아래 기술적‧인적 지원을 제공하고 평시에는 시설진단‧수계전환 등 상수도 전반에 걸쳐 전문기술을 지자체에 이전한다.

2018년 국내 상수도 보급률은 99.2%로 전년 대비 0.1%P, 농어촌지역은 94.8%로 전년대비 0.5%P 상승했다. (자료 환경부 제공,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2018년 국내 상수도 보급률은 99.2%로 전년 대비 0.1%P, 농어촌지역은 94.8%로 전년대비 0.5%P 상승했다. (자료 환경부 제공,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가장 많은 시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 한강유역환경청(이하 한강청)은 “지방상수도 기술지원은 지자체 수도사업자 역량강화를 위한 한강청과 센터의 첫 발걸음”이라며 “한강청과 센터는 개선 시급성 등을 감안해 대상 수도사업자를 선정하고 현장진단과 컨설팅을 제공하는 한편, 지원 종료 후에도 시설 개선현황과 운영·관리 적정여부 등을 지속 관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강청에 따르면, 기술지원은 대상선정 후 다음 달부터 본격 시행되며 향후 결과보고와 성과공유의 장을 마련해 우수사례를 전파할 계획이다. 현재 수도권에서는 총 33개(서울 1, 인천 1, 경기 31) 지자체 수도사업자와 한국수자원공사가 2600만 시민들에게 수돗물 공급을 하고 있다.

최종원 한강청장은 “수도권 시민들에게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며 “한강청과 한강유역수도지원센터가 지자체와 함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