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에서 개발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의 최종조립 작업 모습(두산중공업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두산중공에서 개발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의 최종조립 작업 모습(두산중공업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민관이 향후 200조원으로 성장할 세계 가스터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한국형 표준가스복합 개발 사업화 추진단’의 발족식을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두산중공업과 성일터빈 등 중견‧중소 부품기업을 비롯해 발전 5사, 에너지기술평가원, 학계, 연구계 등 다양한 관계자가 참여했다. 또한 추진단장으로 손정락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 에너지산업 MD(Managing Director)를 위촉했다.

향후 추진단은 설계 표준화와 주기기 및 핵심부품 개발, 실증 테스트베드(시험공간) 구축 등을 중심으로 한국형 표준 LNG 복합발전 모델 개발과 사업화 추진을 위해 적극 협력한다.

산업부는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석탄발전 감축 등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 되면서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LNG 발전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8년 기준 세계 가스터빈 시장규모는 97조원으로 2035년까지 약 2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발전용 가스터빈 세계시장 점유율은 GE(미국) 58%, 지멘스(독일) 27%, MHPS(일본) 11%, 안살도(이탈리아) 4%로 해외 업체들이 차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 업체들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주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2013년부터 산학연 공동 R&D 국책과제를 통해 ‘H급 가스터빈 모델(270MW, 복합효율 60%) 개발을 완료했다. 

이 업체는 이런 성과를 기반으로 200여개 국내 중소‧중견 협력기업과 함께 공급체인(Suppliy Chain) 구축, 공동 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등을 적극 추진했다. 여기에 서부발전과 공동으로 2023년 1월부터 김포 열병합 가스터빈 실증사업도 시작할 계획이다.

정부 역시 가스터빈 업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올해 상반기 추진단을 중심으로 ‘가스터빈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추가적인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방안도 발전 5사와 협의를 거쳐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간담회에서 “국산 가스터빈 기술 자립화는 지역산업 생태계구축, 부품・소재 경쟁력 강화,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발전용 가스터빈 세계시장 점유율(자료 산업통상자원부,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발전용 가스터빈 세계시장 점유율(자료 산업통상자원부,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