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2018 상수도 통계’ 발표...지속적 증가세
보급 확대에서 시설 선진화·관리 운영 고도화 추구

2018년 상수도 보급률은 99.2%로 전년 대비 0.1%P, 농어촌지역은 94.8%로 전년대비 0.5%P 상승했다. (자료 환경부 제공,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2018년 상수도 보급률은 99.2%로 전년 대비 0.1%P, 농어촌지역은 94.8%로 전년대비 0.5%P 상승했다. (자료 환경부 제공, 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환경부는 한국 상수도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18년 상수도 통계(이하 상수도 통계)’를 16일 발표했다.

상수도 통계는 취수장, 정수장 등 상수도시설 현황을 비롯해 1인당 1일 물사용량, 수돗물 생산원가 및 수도요금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상수도 통계 조사결과, 수돗물 보급률은 99.2%(급수인구 5265만명)로 전년 대비 0.1%P 상승했다. 이 중 마을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을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는 인구는 전체 2.2%(115만4000명)이다. 농어촌지역 보급률은 94.8%로 전년 대비 0.5%P 상승했고 전국 보급률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8년 말 현재 수도관 총연장은 21만7150㎞며 전년 대비 8116㎞ 증가했다. 이 중 지방상수도 총연장은 21만1771㎞(97.5%), 광역상수도 총연장은 5379㎞(2.5%)다. 설치 후 30년 이상 경과된 관로는 2만7552㎞로 전체 관로 12.7%를 차지했다. 30년 이상된 관로 비율은 경북 울릉이 51%로 가장 많았고 30년 이상된 관로 연장 길이는 서울이 2830㎞로 가장 길었다.

환경부는 전국 노후 상수관로 실태를 면밀히 조사(노후상수관로 정밀조사 지원 사업, 2019∼2022년 국고 318억 원 지원/161개 지자체 대상)해 그 결과에 따라 노후관 교체·개량이 시급한 지역 상수관망 정비사업이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8년 지리정보체계(GIS)를 구축한 총 관로연장은 15만810㎞며 전체 관로 중 지리정보체계 구축률은 69.4%로 전년 대비 1.4%P 증가했다. 구축률이 100%에 가까운 특·광역시에 비해 일반 시군 지역 지리정보체계 구축률이 낮았다. 시도 중에서는 전남이 44.2%, 전북이 45.5%로 가장 낮았다. 

또한 전남(10곳), 경북(7곳), 경남(6곳) 등 총 39개 지자체는 아직까지 관로 지리정보체계를 구축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돼 관로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지리정보체계 구축을 독려할 계획이다.
 
아울러 2018년 한국에서 공급한 수돗물 총량은 66억5600만㎥다. 상수도관 노후 등으로 인해 연간 수돗물 총 생산량의 10.8%인 7억2000만톤 수돗물이 수용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누수됐다. 이를 생산원가(2018년도 기준)로 환산하면 손실액은 6581억원으로 추산된다.

또한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가정용과 영업용(식당, 사무실 등) 등을 포함한 생활용수 전체의 경우, 295ℓ(전년대비 6ℓ증가)로 2008년 이후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수돗물 평균 생산원가는 1㎥당 914원이며 수도요금 현실화율(생산원가 대비 수도요금)은 80.6%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다.

이밖에 전국 수돗물 평균 요금은 1㎥당 736.9원이며 서울 569원, 대구 686원, 인천 665원으로 특·광역시의 경우 대체로 전국 평균보다 요금이 낮았다. 강원 1011원, 전북 952원, 충남 895원으로 경기를 제외한 시도 평균 수도요금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단순한 상수도 시설 보급을 넘어서 시설을 선진화하고 관리·운영을 고도화해 국민 모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깨끗한 물을 제공할 것”이라며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도시설 설치·개량비용 등을 지원해 지역별 요금격차가 완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