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0㎛ 이하 먼지 90% 이상 제거할 수 있어
발전소 외에도 다양한 적용처 기대

정전분무를 이용한 습식 전기집진기 장치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정전분무를 이용한 습식 전기집진기 장치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초미세먼지(PM2.5)와 극초미세먼지(PM1.0)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실증 연구까지 마쳐 제철소와 석유화학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기대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일 화력발전소 배출 가스에 포함된 1.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이하의 먼지를 90% 이상 제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정전 분무 습식 전기집진기’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정전 분무란 분무 시 노즐을 통과하는 액체에 양(+), 음(-)의 고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액체 속의 이온이 표면으로 이동하며 수십 ㎛ 크기의 미세한 액적(물 덩어리)으로 변화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기존 전기집진기로 제거할 수 없었던 초미세먼지와 탈황 공정 중 생성되는 초미세 석고 입자의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해 습식 전기집진기에 정전 분무 기술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을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사이클론 집진기에 적용하면 집진기 내부에 수 킬로볼트(kV)의 높은 전하량을 띄는 미세 물 액적을 분사시켜 10㎛ 이상의 미세먼지는 원심력과 중력 침강에 의해, 그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정전기적 인력과 이온 응집에 의해 집진할 수 있다.

 기술 개발 이후 연구진은 약 4개월간 한국중부발전 보령발전본부 1발전소에서 실증 연구를 진행했으며 연소 이후 배출되는 초미세먼지와 탈황 공정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초미세 석고 입자를 세계 최고 수준(PM2.5 97%, PM1.0 95%)으로 저감하는 등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최종원 책임연구원은 “정전 분무 기술은 초미세먼지 외에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가스 상 먼지를 높은 효율로 저감시키면서도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라며 “상용 중인 집진기에 비해 설치 면적이 작고 용액의 사용량이 매우 적어 국내 환경 분야의 미래가치 사업으로 부각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연구진은 향후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은 발전소, 제철소, 제련소, 석유화학 공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증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