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업무보고,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
2022년까지 전기차 43만대·수소차 6만5천대 보급

전기차(환경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전기차(환경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정부가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자동차 부품산업에 3조5000억원 이상을 지원한다. 2022년까지 친환경차 국내 생산 비중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지자체와 완성차 업계의 공동출연금을 활용해 1조원 규모 신규자금을 채권담보부증권(P-CBO) 방식으로 순차 공급한다. 자금조달 경로를 확대하고, 부품산업 생태계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 지원도 가능해진다.

2·3차 부품기업 중심으로는 긴급안정자금 1000억원과 신청요건 완화 및 우선배정을 실시한다. 자금이 소진되면 중소기업진흥공단이 1000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중소 부품기업을 중심으로는 1조원 규모의 보증도 지원 중이다.

한국 GM 협력업체에는 현재 운영 중인 1조2000억원 규모 정책금융기관의 대출·보증 만기를 1년 추가 연장한다. 2000억원 규모의 기존 수출신용보증 만기를 연장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채권 보증으로 조기 현금화도 지원한다.

군산 등 산업위기 지역 소재 부품기업에는 630억원 규모의 대출ㆍ보증 만기가 1년 연장된다.

산자부가 18일 업무보고에서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18.12.18/그린포스트코리아
산자부가 18일 업무보고에서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18.12.18/그린포스트코리아

미래차 생태계 전환을 가속화하는 방안도 나왔다. 먼저 2019년 전기차ㆍ수소차 보조금 예산을 대폭 확대해 전기차 4만2000대, 수소차 4000대로 지원규모를 상향 조정한다.

현재 1.5% 수준인 친환경차 연간 국내생산 비중은 2022년까지 10% 이상으로 확대한다. 

2022년까지 친환경차 국내 보급 목표도 지난 6월 발표한 35만대에서 43만대로 대폭 높였다. 수소차는 올해 900여대 수준에서 6만5000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공공기관 친환경차 의무구매율은 현재 70%에서 2020년까지 100%로 상향한다.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뛰어난 수소버스도 2022년까지 2000대를 보급할 방침이다. 이밖에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전경버스를 교체하고, 내년부터 서울에서는 수소택시 10대를 시범 운영한다.

전기·수소차 충전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현재 15개소에 불과한 수소차 충전소를 내년에는 80여개소까지 확대한다. 2022년에는 전국 310배소로 20배 이상 늘릴 예정이다.

현재 3800기 수준인 전기차 충전소는 2022년 1만기로 확대한다.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생산확대와 규모의 경제 효과로 2022년에는 보조급 지급 전 기준으로 전기차는 5000만원→4000만원, 수소차는 7000만원→5000만원으로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고 봤다.

친환경차 보급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는 현재 38톤에서 2022년에는 829톤으로 20배 이상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차 핵심부품 개발 등에는 2조원이 투자된다. 미래차 전환 관련 예산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는 기술개발(R&D)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한다.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400→600㎞)과 충전시간 저감(200→400kW)과 핵심부품 기술 고도화에는 5000억원 규모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다. 수소차는 3000억원 규모 예타를 통해 16만㎞인 내구성을 50만㎞로 확대하는 등 기술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자율주행차에는 1조원이 투입된다. 미래차 개발 핵심인 고급인력 공급을 위해 2022년까지 석·박사급 전문 인력도 1000명 이상 양성한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