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abay 제공) 2018.12.11/그린포스트코리아
(Pixabay 제공) 2018.12.11/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홍민영 기자] 주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4곳 중 1곳에는 여전히 초과근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근로시간 단축을 적용하고 있는 대‧중견기업 31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주52시간 근로시간제 기업실태 조사’ 결과 이 같이 파악됐다고 11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 중 24.4%가 “주25시간 초과근로가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8월의 16.4%보다 8%p나 높은 수치다.

대한상의는 “초과근로가 있는 기업들은 R&D 등의 직무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도 “납기를 맞추기 위해 당분간 초과근로가 불가피한 기업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또한 응답기업 10곳 중 7곳이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애로를 겪고 있었다.

구체적인 애로사항으로는 ‘근무시간 관리 부담’(32.7%)이 가장 많았고, '납기‧R&D 등 업무차질'(31.0%), '추가 인건비 부담'(15.5%), '업무강도 증가로 직원불만'(14.2%), '직원 간 소통약화’(6.6%)가 뒤를 이었다. 

근로시간 단축 유형으로는 '근무시간 관리 강화'(59.3%), '유연근무제 도입'(46.3%), '신규인력 채용'(38.2%), '자동화 설비 도입’(19.5%) 등이 있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48.9%‧복수응답 가능)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외 '선택적 근로시간제'(40.7%), '재량근로제'(17.4%), '간주근로제'(14.5%) 등이다.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들 중 58.4%는 "단위기간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기간은 '1년'(31.8%)이 가장 많았고, '6개월'(26.6%)이 뒤를 이었다. 현행 3개월로 충분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15.6%에 그쳤다. '현행 3개월로 부족하나 대응 가능'하다는 응답은 26.0%였다.

탄력근로제를 실제 도입한 기업은 전체의 23.4%에 그쳐 활용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체 관계자는 “주52시간 근로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이 최소 6개월은 돼야 생산대응이 가능한데 현재는 최대 3개월”이라며 “노조 반발로 도입도 어렵고, 짧은 단위기간이나 까다로운 운영방식 때문에 도입해도 실익이 적다”고 지적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들이 탄력근로제를 충분히 활용하려면 단위기간 확대, 노사합의 완화, 운영방식 개선이 필요하다”며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조속히 개선하고 기업 측에서도 ‘일하는 문화’를 새롭게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my1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