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수산물 안전 및 품질 관리실태' 감사결과

전국 각지의 해역에서 바이러스 및 중금속이 검출됐지만 해수부가 관리에 소홀히 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그린포스트코리아DB)2018.12.7/그린포스트코리아
전국 각지의 해역에서 바이러스 및 중금속이 검출됐지만 해수부가 관리에 소홀히 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그린포스트코리아DB)2018.12.7/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주현웅 기자] 전국 각지의 굴 생산해역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대장균이 수차례 검출됐지만, 해양수산부가 방관하고 있다는 감사원의 지적이 나왔다.

7일 감사원의 ‘수산물 안전 및 품질 관리실태' 결과에 따르면 해수부는 그동안 기준치 이상의 대장균이 검출된 굴 생산해역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국립수산과학원은 2014년부터 올해까지 전국 71개 패류 생산해역 위생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서해안과 남해안 등 15개 굴 생산해역에서 ‘생식용 굴 기준’을 초과한 대장균이 빈번히 검출됐다. 이 가운데 2개 해역에서는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주무부처인 해수부는 이 사실을 외면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해수부는 대장균 등이 검출된 지역을 ‘관리대상 해역’으로 지정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는 대상 지역에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해수부는 ‘안전한 굴 공급계획’을 세우면서도 국립수산과학원의 결과를 반영하지 않았다”며 “결국 노로바이러스 검사 및 오염원 관리와 가열조리용 표시 판매 등의 조치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해수부는 해수면 퇴적물이 오염된 사실도 외면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국립수산과학원은 대장균 검출 등을 조사하며 해수면 퇴적물 오염 여부 등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부 굴 생산해역의 중금속 농도가 ‘해양환경기준의 주의기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산만의 퇴적물 내 중금속은 전국 어장의 평균과 비교해 카드뮴 최대 8.6배, 납 최대 2.4배, 수은 최대 4배가 더 축적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가 심각하지만 해수부는 이에 대해서도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게 감사원의 감사결과다.

감사원은 “해당 어장에서 생산된 어패류 상당수가 위판장과 공판장을 거치지 않고 판매되고 있다”며 “그러나 마산만 등 중금속 오염 우려 어장에서 생산된 어패류에 대해 안전성 조사는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감사원은 해수부 장관에 대책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해수부는 대장균과 중금속 등 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 조사를 벌인 뒤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감사원은 감사결과를 통보하며 “해수부 장관은 연중 대장균 및 노로바이러스 등이 검출되고 있는 굴 생산 해역을 ‘관리대상 해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며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등에 대해서도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해수부는 “바이러스와 중금속 우려에 노출된 지역들을 대상으로 면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며 “안전한 수산물이 생산 및 공급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국립수산과학원 조사 결과 서해안과 남해안 등 15개 굴 생산해역에서 ‘생식용 굴 기준’을 초과한 대장균이 검출됐다.(감사원 제공)2018.12.7/그린포스트코리아
국립수산과학원 조사 결과 서해안과 남해안 등 15개 굴 생산해역에서 ‘생식용 굴 기준’을 초과한 대장균이 검출됐다.(감사원 제공)2018.12.7/그린포스트코리아

 

chesco12@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