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는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는 절기로 양력 2월19일께다.

'우수'는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듯으로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속담도 있다.

그렇다면 실제 눈이 끝나는 시기와 얼어 있던 강물이 녹는 시기는 우수와 일치할까?

17일 기상청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최근 30년 동안 마지막으로 눈이 내린 날은 평균 3월16일, 마지막 얼음은 3월31일로 우수로부터 각각 25일, 40일 후다.

반면 한강의 해빙은 평균 1월30일로 우수보다 20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우수는 강의 해빙과 마지막 눈·얼음 사이에 있는 셈.

1971~2000년 평년값을 보면 마지막 눈이 3월21일, 마지막 얼음은 4월5일이어서 최근 30년간 마지막 눈과 얼음은 과거에 비해 각각 5일 빨라졌고 한강 해빙은 평균 2월5일로 6일 빨라졌다.

가장 이른 봄꽃인 매화의 발아(發芽)는 평균 3월 13일, 개화는 4월 5일이다. 따라서 우수로 부터 평균 45일 후에는 서울에서 매화꽃을 볼 수 있다. 계절관측 지점 중 최남단인 서귀포의 경우에는 매화 개화일이 평균 2월 28일이어서 우수가 되면 꽃 소식이 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의 우수의 최근 30년 평균기온은 1.1도로, 과거에 비해 0.5도 높아졌다. 올해 우수에는 서울의 아침최저기온이 영하 9도, 낮최고기온이 영상 1도로 추위가 예상된다.
 

jinju@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