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덕 교수, 하수처리장 등에서 미세플라스틱 저감 필요성 제기

조경덕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교수가 ‘미세플라스틱의 환경 중 거동 및 저감 방안’이란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권오경 기자) 2018.10.30/그린포스트코리아
조경덕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교수가 ‘미세플라스틱의 환경 중 거동 및 저감 방안’이란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권오경 기자) 2018.10.30/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정확하고 통일된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기법 확립과 하수처리장 및 지표수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처리 공정 필요성이 제기했다.

3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18 환경정책 심포지엄’에서 조경덕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미세플라스틱의 환경 중 거동 및 저감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서 조 교수는 “환경 중에 다양한 종류 플라스틱들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등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이 중에서 1㎛(마이크로미터)보다 더 작은 초미세마이크로 플라스틱에 관한 분석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 미만인 플라스틱을 말한다. 생산단계부터 조그만 크기로 만들어진 1차 미세플라스틱과 분해·풍화 작용 등을 거쳐 작게 부서진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나뉜다. 스크럽제, 화장품, 치약 등 일상생활용품에도 미세플라스틱은 포함돼 있다. 식약처에서는 지난 2017년부터 화장품 및 치약에 미세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없도록 법으로 금지했다.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은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세계 우수 학술논문 인용지수인 스코퍼스에 ‘미세플라스틱’을 검색하면 2011년까지 20개 정도였던 논문 인용수가 지난해 194개로 급격히 늘어났다.

미세플라스틱은 피해 범위를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오염원이 다양하다. 매년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만 최소 800만톤 정도다. 조 교수에 따르면 폐수로 인해 하천이나 바다에 유입되는 미세섬유가 연간 100만톤, 타이어 조각은 100㎞ 당 약 20g 정도다. 또 도로, 선박, 건물 등의 페인트 입자는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원 중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최근 펼쳐지고 있다. (조경덕 교수 제공) 2018.10.30/그린포스트코리아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최근 펼쳐지고 있다. (조경덕 교수 제공) 2018.10.30/그린포스트코리아

지난달에는 시중에 유통 중인 국내산과 외국산 천일염 6종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사실이 밝혀져 이에 대한 공포가 커졌지만 실제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마찬가지다.

이와 관련해 조 교수는 미세플라스틱이 대기, 토양, 수질, 퇴적물 등 다양한 범위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네이처지를 인용해 미국 캘리포니아와 인도네시아의 수산시장 어류 표본 중 4분의 1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사실도 소개했다.

조 교수는 하수처리장 등 다양한 수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 검출 사례를 소개하며 “하수처리장이 인근 지표수의 주된 오염원이 될 수 있다. 하수처리장에서 미세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개발하는 게 필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이밖에 수돗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다는 연구 논문도 공개하며 “올해 한 연구에서는 리터당 469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왔다. 아직 분석기법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난 것이지만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