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이 신종 미생물 ‘데이노코쿠스 코렌시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2018.10.24/그린포스트코리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이 신종 미생물 ‘데이노코쿠스 코렌시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2018.10.24/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방사선과 자외선에 강력한 내성을 지닌 신종 미생물 ‘데이노코쿠스 코렌시스(Deinococcus koreensis)’를 발견하고 기능성 생물소재로 활용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난배양성 담수 미생물의 탐색 및 배양기술 고도화’사업을 통해 지난해 6월 섬진강 유역의 표층수에서 ‘데이노코쿠스 코렌시스’를 처음 분리했다. 이후 올해 3월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모방형 배지와 유세포분리기를 활용한 고효율 배양 방법으로 인공배양에 성공했다.

태양광선과 방사선에 강한 데이노코쿠스 속 미생물 중 대표종인 ‘라디오두란스’는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지역을 조사하던 과학자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이 1998년에 우주실험에 사용하는 등 방사성 폐기물 저감기술 연구뿐 아니라 의약품, 화장품 등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에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데이노코쿠스 코렌시스’는 국명인 ‘코리아(Korea)’를 인용해 데이노코쿠스 속에 속하는 신종 미생물 ‘코렌시스’로 이름 지어졌다. ‘라디오두란스’처럼 방사선과 자외선에 강력한 내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코렌시스’의 학명 정보와 유전체 결과를 담은 논문을 지난 8월 국제 학술지에 게재했다.

코렌시스는 10kGy(킬로그레이) 이상 방사선과 최대 1,200J/㎡ 자외선에도 살아남았다. 이 수치는 대장균의 200배, 동물세포의 3000배 이상이다. 참고로 사람은 4.5Gy의 방사선량에 노출되면 절반이 사망하고 15J/m2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가 파괴된다.

서민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데이노코쿠스 코렌시스의 발견은 국내 담수 수계가 유용생물자원의 서식지로 가치가 있음을 의미한다”라며 “발견한 배양체와 유전체 정보를 학계와 산업계에 제공해 자생종을 이용한 활용연구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