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해외진출·사드 갈등·노세일 원칙·온라인 유통채널 부족이 경영난 초래

2018.10.10/그린포스트코리아
2018.10.10/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권오경 기자] 로드숍 화장품 브랜드 1세대로 불리는 '스킨푸드'가 경영난에 처해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스킨푸드의 4개월 누적 체불액은 20여억원에 달한다. 대금을 지불받지 못한 협력사들은 스킨푸드를 상대로 가압류 신청을 한 상태다. 은행에서 빌린 차입금 29억원도 올해 안으로 순차적 만기를 맞는다.

스킨푸드는 "현재 현금 유동성 대비 과도한 채무로 일시적인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채무를 조정하고 기업경영을 조속히 정상화하는 것이 채권자 등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해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스킨푸드는 기업회생 절차 신청이 인가될 시 유동성을 확보해 사업을 정상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킨푸드가 약 30억원대 빚을 갚지 못한 데에는 무리한 해외 진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스킨푸드는 2014년부터 공격적으로 해외 진출을 시도했고 이 과정에서 적자가 발생해 경영 상황이 악화됐다. 중국·미국법인은 자본 잠식 상태다.

스킨푸드 주 고객층이었던 중국인 관광객이 사드 영향으로 급감한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와 함께 스킨푸드 판매 원칙 중 하나인 ‘노세일 원칙’, 온라인 유통채널 부족 등도 역시 경영난을 초래한 요인 중 하나로 보는 이들이 많다.

일각에서는 스킨푸드가 폐업할 수 있다는 소문까지 돌고 있다. 그러나 스킨푸드는 이 같은 상황을 사실상 외면하고 있는 듯 보인다. 본사 측으로부터 사용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제품을 전달받은 스킨푸드 가맹점주 A씨는 "정말 이건 아니지 않냐"며 소셜네트워크에 항의글을 적었다.

이에 다른 가맹점 사장들도 "저희도 같은 상황이다", "폐점한 매장에서 가져온 듯", "제조일자가 2017년인 제품이 왜 지금 들어오냐" 등 하소연했다.

가맹점주들은 발주를 넣고 제품을 받아본 뒤에야 유통기한 및 제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만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 다른 가맹점 사장은 텅 빈 진열대 사진을 올리며 "이게 매장이냐. 클렌징 티슈도 인터넷에서 택배비 주고 사야 하느냐"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스킨푸드측은 '선입선출 원칙'에 따라 일부 가맹점에만 오래된 제품이 입고된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스킨푸드는 해외 사업권 일부를 매각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온라인 유통망을 확대해 현재 위기를 벗어날 계획이다. 가맹점주의 불만이 높아지는 가운데 스킨푸드의 정상화 계획이 제대로 시행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roma201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